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적 배제에 대한 실험 연구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4, pp.675-700
https://doi.org/10.17315/kjhp.2021.26.4.003
이민조 (중앙대학교)
권영실 (중앙대학교)
현명호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20년 7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사회적 배제에 관한 실험 연구 32편을 선정하고 79개의 효과크기를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배제에 대한 종속변인은 정서(긍정정서, 부정정서), 기본 욕구(관계성 욕구, 효능감 욕구), 사회적 행동(친사회성 행동, 반사회성 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 사회적 배제 유형(거절, 무시/배척), 사회적 배제 패러다임 유형(실제경험, 사이버볼, 과거 회상 및 미래 예상)을 설정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는 긍정 정서(d=–.464)를 낮추고, 부정 정서(d=.488)를 높게 경험하게 하며, 관계성 욕구(d=–.897)와 효능감 욕구(d=–1.887)를 크게 위협하였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배제가 친사회적인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반사회적인 행동을 증가시켰다(d=.876). 사회적 배제의 효과는 배제 유형과 배제 패러다임 유형에 따라 정서 변인과 기본 욕구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keywords
social exclusion, affect, fundamental needs, social behavior, meta-analysis, effect size, 사회적 배제, 정서, 기본 욕구, 사회적 행동, 메타분석, 효과크기

Abstract

In this article,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f social exclusion by sampling 32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until July 2020.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on dependent variables categorized with affec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fundamental needs (relational and efficient needs), and social behavior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was evaluated with moderators including the type of social exclusion (rejection and ignorance/ostracism) and paradigm of social exclusion (real experience, cyberball, and remembering the past and anticipating the future). As a result, social exclusion moderately diminished the positive affect (d=.488) and increased the negative affect (d=.488). Both relational (d=–.897) and efficient (d=–1.887) needs were highly intimidated by social exclusion, which raised the antisocial behavior (d=.876), but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prosocia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e type and paradigm of social exclu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affect and fundamental need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 exclusion, affect, fundamental needs, social behavior, meta-analysis, effect size, 사회적 배제, 정서, 기본 욕구, 사회적 행동, 메타분석, 효과크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