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기반 폭식 개선 프로그램이 폭식 장애 경향 여대생의 폭식 행동, 부정적 정서, 충동성 및 억제 결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dfulness-Based Binge Improvement Program on Binge Eating Behavior, Negative Emotion, Impulsivity, and Inhibitory Deficit of Binge Eating Disorder-Pro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1, pp.125-147
https://doi.org/10.17315/kjhp.2022.27.1.007
황보인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폭식 개선 프로그램이 폭식 장애 경향이 있는 여대생의 폭식 행동, 부정적 정서, 충동성 및 억제 결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이며 폭식 행동을 문제라고 여기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폭식 척도(BES)와 Barratt 충동성 척도(BIS)를 실시했다. 이 중 폭식 장애 경향이 있는 여대생을 선별했고, 최종 선별된 29명은 무선 할당을 통해 처치 집단에 14명, 대기-통제 집단에 15명으로 할당했다. 처치 집단은 주 2회, 약 60분씩 총 6회기의 마음챙김 기반 폭식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처치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게는 프로그램 전, 후에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했으며, 프로그램 종료 3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했다. 측정 도구로는 폭식 척도(BES), 식이 행동 질문지(DEBQ), 정신건강 척도(SCL-90-R), Barratt 충동성 척도(BIS), 다차원 충동성 척도(UPPS-P), 멈춤-신호 과제(SST),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CAMS-R)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처치 집단이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폭식 행동, 정서적 섭식, 불안, 우울, Barratt 충동성, 다차원 충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그 효과는 3주 후 추후 검사에서도 지속되었다. 또한 멈춤-신호 과제에서 멈춤-신호 지연시간과 GO 과제의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했고, 그 효과는 3주 후 추후 검사에서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멈춤-신호에 대한 반응시간(SSRT)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사항을 논의했다.

keywords
mindfulness, mindfulness meditation, binge eating, emotional eating, negative emotion, impulsivity, inhibition deficit, 마음챙김, 마음챙김명상, 폭식, 정서적 섭식, 부정적 정서, 충동성, 억제 결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binge improvement program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rone to binge eating disorders. Twenty-nine students were selected using BES (Binge Eating Scale) and BI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mindfulness group (n=14) and a control group (n=15). The mindfulness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six sessions (60 minutes each, twice a week). The mindfulnes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mpleted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at three weeks. As a measurement tool, BES,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Symptom Check List (SCL-90-R), BIS, the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UPPS-P), Stop Signal Task (SST), and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 Revised (CAMS-R)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binge eating behavior, emotional eating, anxiety, depression, impulsiv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indfulness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t post-test. Such decreases were kept at the 3-week follow-up test. Regarding the Stop-Signal Task, stop signal delay time (SSD) and go signal reaction time (GORT) of the mindfulness group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both post-test and the 3-week follow-up test. Longer SSD and GORT indicated a decrease of inhibition deficit. However, stop signal reaction time (SSR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indfulnes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lications for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mindfulness, mindfulness meditation, binge eating, emotional eating, negative emotion, impulsivity, inhibition deficit, 마음챙김, 마음챙김명상, 폭식, 정서적 섭식, 부정적 정서, 충동성, 억제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