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약중독회복요인에 대한 초이론적 모델의 유형 고찰 : 국내 질적 연구의 내용 분석

Transtheoretical Models for Drug Addiction Recovery: A Content Analysis of Domestic Qualitative Studi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3, pp.425-440
https://doi.org/10.17315/kjhp.2022.27.3.001
장혜량 (삼육대학교대학원 중독과학과)
서경선 (삼육대학교 중독과학과)
김나미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마약중독회복과정의 단계별 특성을 초이론적 모델을 통해 살펴보기 위해 최근 발표된 국내 마약중독회복 질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0-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과, 석사·박사 학위 논문에 발표된 국내 마약중독회복 관련 논문들을 검색하고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최종 16편의 질적 연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16편의 질적 연구들에서 나타나는 회복단계별 요인들을 초이론적 모델 기반으로 분류하고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이론적 모델 5단계인 전숙고부터 유지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회복 요인들은 내적 요인, 환경 요인,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숙고단계부터 유지단계 4단계에서는 영적 요인과 긍정적․희망에 대한 요인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내용 분석을 통해 초이론적 모델의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회복들이 점진적이고 나선형으로 성장한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셋째, 단계별 고유한 특징으로는 전숙고 단계는 왜곡된 만족과 유혹․호기심, 쾌락 몰입으로 숙고 단계는 인정과 수용, 바닥 경험, 격리․성찰로 도출되었다. 준비 단계는 사고의 전환, 행동 단계는 생활습관 회복, 유지 단계는 봉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약중독 회복의 단계별 특징을 초이론적 모델을 통해 통찰해봄으로써 회복을 지원하는 상담과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중독회복, 마약중독회복, 질적 연구, 초이론적 모델, Addiction recovery, Drug addiction recovery, Qualitative studies, Transtheoretical model

Abstract

This study used a content analysis on the recently published qualitative studies on drug addiction recovery in Korea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p-by-step drug addiction recovery proces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he final 16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search for papers related to the recovery of domestic drug addic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from 2010 to 2021. Additionally, the factors of each recovery stage in the 16 qualitative studi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common features were analyzed. From the findings, first, the recovery factors common in the precontemplation and maintenance stages, the five stages of the hyper-theoretical model, were internal environmental and relational factors. Second in the fourth stage from the deliberation stage to the maintenance stage, the spiritual factors and the positive and hope factors were derived in common. Third, as a unique feature of each stage, the precontemplation stage was derived as distorted satisfaction, temptation, and curiosity, pleasure immersion, and the contemplation stage were derived as recognition and acceptance, floor experience, isolation, and reflection. The preparation stage was a change of thinking, The action stage was lifestyle restoration, and the maintenance stage was servic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well a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counseling and program development to support recovery using the step-by-step characteristics of drug addiction recovery through the transtheoretical model.

keywords
중독회복, 마약중독회복, 질적 연구, 초이론적 모델, Addiction recovery, Drug addiction recovery, Qualitative studies, Transtheoretical model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