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자비 개념을 기반으로 Gilbert 등(2017)이 개발한 자비적 참여행동 척도(Compassionate Engagement and Action Scale: CEAS)를 한국판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만 20세∼49세 성인 400명에게 자비적 참여행동 척도와 더불어 관계성, 자비적 사랑, 정신적 지지, 자기자비,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 측정치를 실시하였다. 400명중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추출한 2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200명을 제외한 나머지 2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유사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자료를 통합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자비적 참여행동 척도는 관계성, 자비적 사랑, 정신적지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과도 높은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을 제외하고도 우울, 불안, 정신적 웰빙에 대한 CEAS의 증분설명량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판 CEAS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compassion, the Compassionate Engagement and Action Scale (CEAS) developed by Gilbert et al.(2017) was adapted and validated into a Korean version. A total of 400 adults age 20-49 were measured for relatedness, compassionate love, emotional support, self-compassion, depression,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00 subject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other 200 subject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 model similar to the original scale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As a result of integrating all the data to verify the validity, the CEA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latedness, compassionate love, emotion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and high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Additionally, except for social desirability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incremental variance of CEAS for depression, anxiety, and mental well-being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CEA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