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청년과 노인의 건강정보문해력 차이: 예비연구

Use of Eye Tracking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Health Literacy Among Younger and Older Adults: A Pilot Stud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4, pp.649-666
https://doi.org/10.17315/kjhp.2022.27.4.004
김예슬 (충남대학교)
김태현 (이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일 (광주과학기술원)
노수림 (충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 건강정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선패턴의 연령차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정보문해력 특성을 예비연구의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년 15명과 노인 12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들이 온라인 건강정보문해력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시선패턴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시선패턴 분석을 위해 관심영역을 질문 영역, 질문에 답하는 데 필요한 핵심 건강정보 영역, 질문과 관련이 없는 비핵심 건강정보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은 청년보다 건강정보문해력 과제의 정확률이 낮고 반응시간이 느렸다. 이런 현상은 약 복용량 등을 계산하는 수리 문항과 영양성분표를 활용하는 문항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노인은 청년에 비해 질문 영역을 더 길게 응시하였고, 핵심 건강정보 영역을 비핵심 건강정보 영역보다 주의 깊게 응시하는 점은 청년과 유사하였으나 핵심 건강정보 영역으로의 시선진입 시간이 청년보다 느렸다. 핵심 건강정보 영역으로의 시선진입 시간이 지체되는 노인의 특징은 수리와 영양성분표 문항에서 특히 더 두드려졌다. 반응시간과 질문 응시시간 그리고 핵심 건강정보 영역으로의 시선진입 시간은 건강정보문해력 정확률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에서 건강정보문해력이 낮은 원인이 건강 관련 질문을 이해하고 해당 질문의 핵심이 되는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에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건강정보문해력, 아이트래킹, 노화, health literacy, eye tracking, aging

Abstract

Age differences in health literacy were explored in this study, by comparing gaze patterns through eye-tracking to understand older adults’ difficulty in processing health-related information. Fifteen younger and 12 older adults performed a computer-based health literacy task, while their visual attention was measured by monitoring their eye movements. Their gaze patterns were analyzed by creating three areas of interest (AOIs), namely a question AOI, a key-information AOI for answering the question, and a non-key information AOI. Results indicate that older adults were less accurate and slower in responding to the health literacy task than younger adults, especially regarding questions calculating the dosage of a drug and using nutrition labels. Additionally, older adults took longer to read the question. They also took longer to locate key-information, compared to their younger counterparts. Such patterns were frequently observed regarding numerical and nutrition label questions. Longer response time, longer fixation on questions, and longer time to locate key-information, were associated with lower accuracy of the health literacy task. Results suggest that health literacy may be lower among older adults, due to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health-related questions and finding key information.

keywords
건강정보문해력, 아이트래킹, 노화, health literacy, eye tracking, ag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