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자비 글쓰기가 유방암 환자의 우울, 불안, 주관적 웰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방암 환자 온라인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유방암 환자를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4)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2주간 주 2회, 총 4회기, 회기당 60분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측정 도구는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 단축형 상태 자기자비 척도(SSCS-SF),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주관적 웰빙 척도로서 정서 빈도 척도(PANAS),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만족 예상 척도(LSES), 삶의 질 척도(FACT-B)이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2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 상태 자기자비,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우울, 특성 불안, 스트레스 반응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상태 불안, 주관적 웰빙 수준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self-compassion writing on depression, anxiety, subjecti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Promotional posters were posted on the online community for breast cancer patients, and patients who voluntarily wanted to participate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n=16) and wait-control group (n=14).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compassion writing program using a video conference program (ZOOM).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compassion writing program was completed over a period of two weeks, twice weekly, four sessions in total, and each session took approximately 60 minutes. As measuring tool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State Self-Compassion Scale-Short Form (SSCS-S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FACT-B) were used.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e-test, post-test, two weeks follow-up test.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self-compassion, state self-compassion, and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depression, trait anxiety and stress respons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e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La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