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기비난 방식 척도(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Form of Self-Criticism Scale(FSC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2, v.27 no.4, pp.719-741
https://doi.org/10.17315/kjhp.2022.27.4.007
정현희 (영남대학교)
조현주 (영남대학교)
노승혜 (영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비난 방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 연구는 자기비난 수준이 높은 대학생에게 실시한 면담 자료와 기존의 자기비난 척도를 참고하여 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내용타당도를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자기비난 방식 척도(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의 문항을 개발하였고, FSCS와 관련 심리적 변인 척도들을 총 369명의 성인에게 설문하였다. 탐색적 구조방정식(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분석 결과, 자기비난 방식척도는 총 26문항으로 책망, 검열 및 비교의 3요인 구조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책망은 스스로 부족하다고 여기어 질책하고 다그치는 방식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검열은 내적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현재의 모습을 채근하는 방식의 문항들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비교하기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탓하고 낙담하여 자신을 밀어붙이는 모습과 관련되어 있다. 자기비난 방식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구인 및 공인 타당도 그리고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self-criticism,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of scale,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자기비난, 척도 개발, 척도 타당화, 탐색적구조방정식 모델(ESEM)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for forms of self-criticism for adult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hen confirmed. The preliminary study consisted of a scale which extracted items from previous interview data wher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self-criticism participated. For face validity, we consulted experts to formulate items of the Form of Self-Criticism Scale (FSCS) and conducted a survey with 369 university students using FSCS and FSCS-related psychological scales.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FM) analysis indicated that FSCS demonstrated the best model fit when it consisted of 26 items with three factors—Blame, Monitoring, and Comparing. Blame consisted of items that could measure forms of self-criticism when one considered oneself insufficient. Monitoring included items for evaluating ways that one pushes oneself to reach their internal standard. Lastly, items for assessing the tendency of one’s self-stress and pressure due to their comparisons with others were fou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SCS, construct and concurrent reliability, and test-retest validity demonstrated that the study’s results were acceptable. Finally,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 possible future studies.

keywords
self-criticism,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of scale,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자기비난, 척도 개발, 척도 타당화, 탐색적구조방정식 모델(ESE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