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남성들의 난임 경험에 관한 심리적 특성 탐구: 근거이론적 접근

Psychological Factor of Male Infertility Experience: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6, pp.1095-1117
https://doi.org/10.17315/kjhp.2023.28.6.002
윤준호(Jun-Ho Yoon)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현수(Hyun-Soo Kim) (한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현상에 대한 구조화 과정을 통해 난임 남성들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핵심 현상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현상으로부터 분석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남성들의 난임 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년 이상 난임 경험이 있는 남성들을 눈덩이 표집과 유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을 통해 표집 하였고, 20대부터 50대까지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를 전사하여 연구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코딩(open coding)을 통해 총 120개의 개념(concept)과 26개의 하위 범주, 1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또한, 축 코딩을(axial coding)을 통해 인과적 조건으로 ‘난임 경험 및 인식’, 맥락적 조건으로 ‘난임 외상’,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인지오류’, 현상으로 ‘심리적 고통’, 중재적 조건으로 ‘지지체계의 변화’, ‘아내의 변화’, 작용 및 상호작용으로 ‘아내에 대한 인식변화’, ‘자기반성’, ‘임신 및 출산 지식 습득’, 결과로 ‘난임 해결을 위한 노력’, ‘부부관계의 변화’라는 결과 값을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을 통해 ‘사고 및 감정 변화’라는 핵심 범주를 발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남성들의 난임 경험에 대한 유형들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소통형’, ‘갈등형’, ‘관망형’, ‘자기반성형’ 이라는 유형분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난임 남성, 심리학, 근거이론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ormulate a conceptual model for the male infertility processes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n be examined by delving into the underlying core phenomena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stres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employed a dual sampling approach, utilizing both snowball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to gather a cohort of men who had experienced infertility for more than two years. In-depth interview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with a diverse group of eight participants ranging in age from 20 years to 50 years. Qualitative data from these in-depth interviews were meticulously transcribed and subjected to analysis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a total of 120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1 overarching categories emerged. Additionally, utilizing axial coding, we identifie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fertility' as a causal condition, 'Infertility trauma' and 'Cognitive misconceptions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as contextual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s the phenomenon under scrutiny. Furthermore, the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found to be 'Changes in the support system'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wives,' along with 'Self-reflection'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as the interactive factors. The resultant outcome encompassed 'Efforts to address infertility' and 'Alterations in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process, we uncovered the core category of 'Cognitive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Building upon this, we classified various male infertility experiences into the following four distinct types: 'Communication type', 'Conflict type', 'Wait and see type' and 'Self-reflection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we engaged in a comprehensive discussion regard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offered suggestions for prospective research endeavors.

keywords
Infertile Men, Psychology, Grounded Theo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6-28
수정일Revised Date
2023-09-0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09-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