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체중 낙인과 자기 가치 확인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ight Stigma and Self-Affirmation on Eating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6, pp.1231-1251
https://doi.org/10.17315/kjhp.2023.28.6.008
신아현(Ah-Hyeon Shin) (동아대학교병원)
박준호(Joon-Ho Park) (경상국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체중 낙인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 가치 확인 수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원상호작용가설을 세워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2(체중 낙인: 유/무) × 2(자기 가치 확인: 유/무)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여성 8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험참여자에게 본 연구를 ‘과제몰입도 연구 및 신메뉴 맛 평가 연구’라고 소개한 후, 과제몰입도 첫 번째 과제로 ‘기사문 관련 글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체중 낙인을 조작하였으며, 모든 참여자에게 몰입도 점수가 낮다는 피드백을 제시하여 자아 위협을 경험하도록 한 뒤, 두 번째 과제로 ‘가치 목록 관련 글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자기 가치 확인을 조작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은 신메뉴 맛 평가 연구에서 3가지 과자의 맛을 평가하도록 요청받았다. 연구 결과, 체중 낙인과 자기 가치 확인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즉, 자기 가치 확인 무조건의 경우 체중 낙인 유조건이 무조건보다 더 많은 과자를 섭취하였지만, 자기 가치 확인 유조건의 경우 체중 낙인 유조건과 무조건 간의 섭취량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위협적 상황에서 위협과 무관한 자신의 중요한 측면을 확인하여 심리적 자원을 제공받는 것이 위협 정보와 관련된 방어적 행동인 섭식행동의 증가를 완충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체중 낙인, 자기 가치 확인, 섭식행동

Abstract

This study is set and tested, through an experiment, a two-way interaction hypothesis, which proposes that the level of weight stigma will affect Ea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affirmation. It w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of 2 (weight stigma: weight stigma/non-stigma) × 2 (self-affirmation: self-affirmation/non-affirmation), and data from 82 females were analyzed. After introducing the participants to the "Task Immersion Study and A New Snacks' Taste Evaluation Study," we manipulated the weight stigma by presenting the first task of the Task Immersion Study as "article-related writing tasks. After manipulating weight stigma, we presented feedback to all participants, inducing ego-threatening by informing them of low immersion scores. Following that, we manipulated self-affirmation by presenting the second task of the Task Immersion Study as "value list-related writing tasks." Afterward, participants in a new snack's taste evaluation study were requested to taste and evaluate three snack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weight stigma and self-affirmation on ea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and thus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non-affirmation, the group with weight stigma ate more snacks than the group with non-stigma, while in the group with self-affirm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 between both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identifying important aspects of oneself unrelated to threats in threat situations, can buffer the increase in eating Behavior, a defensive behavior related to threat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is study'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words
Weight Stigma, Self-Affirmation, Eating Behavior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0-24
수정일Revised Date
2023-11-1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