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DSM-5 기반 청소년 도박장애 진단 척도의 표준화: 신뢰도와 구성개념 및 준거관련 타당화

Standardization of the DSM-5-Based Adolescent Gambl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Reliability, Construc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3, v.28 no.6, pp.1277-1292
https://doi.org/10.17315/kjhp.2023.28.6.010
이민규(MinKyu Rhee) (경상국립대학교)
한규만(KyuMan Han) (경상국립대학교)
이건희(Geonhee Lee) (경상국립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DSM-5 기반 청소년 도박장애 진단 척도에 대한 신뢰도, 구성개념 및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고 DSM-5 도박장애 진단기준의 심리측정적 특징과 DSM-Ⅳ, GPSS의 심리측정적 특징과 진단 분류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참여자는 경남 지역 청소년 2,654명이었으며, 모든 참여자에게 표준화된 진단기준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타당도, ROC분석을 실시한 결과, DSM-5 기반 청소년 도박장애 진단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진단적 분류 정확성을 보였다. DSM-Ⅳ의 병적 도박 진단기준과 비교해 볼 때, DSM-5 기반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진단적 분류의 민감도 및 거짓 양성 오류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각 척도의 심각도 분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GPSS의 문제군에 비하여 DSM-Ⅳ 병적 도박 집단과 DSM-5 도박중독 집단의 비율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앞선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도박장애 진단의 유용성 및 정확성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진단 척도의 활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DSM-Ⅳ 병적 도박, DSM-5 도박장애, 신뢰도, 타당도, 진단적 분류의 정확성, 교차분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a diagnostic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disorder based on DSM-5. In addition, it aimed to compar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SM-5 gambling disorder diagnostic criteria with those of DSM-IV and GPSS, and to examine the accuracy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tandardized diagnostic criteria questionnaire to all 2,654 adolescent participants in Gyeongnam Province. Reliability, validity, and ROC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DSM-5-based-diagnostic scale for adolescent gambling disorder had satisfactory reliability, validity, and accuracy in diagnostic classification. A cross-tabulation analysis furth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each scale’s severity distribu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SM-IV pathological gambling group and the DSM-5 gambling disorder group had a lower proportion of problems compared to the GPSS problem group. Finally, a discussion of the usefulness and accuracy of diagnosing gambling disorder in adolescents is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above, with implications for the future use of diagnostic scales.

keywords
DSM-Ⅳ PG, DSM-5 GD, reliability, validity, classification accuracy, cross-tabulation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1-07
수정일Revised Date
2023-11-1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3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