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인외상과 비대인외상에 따른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 관계: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Interpersonal Trauma and Impersonal Trauma: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Approach Cop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2, pp.257-280
https://doi.org/10.17315/kjhp.2024.29.2.003
박주희(Joo-Hee Park)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임종민(Jong-Min Lim)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장문선(Mun-Seon Chang)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인외상과 비대인외상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각 집단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74명의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사건관련반추 척도, 정서접근적 대처 척도, 외상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를 통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였고, 측정동일성 검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기 위해 AMOS 21.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인외상, 비대인외상 집단 모두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 사이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 관계에서 정서접근적 대처의 매개효과와 침습적 반추가 정서접근적 대처, 의도적 반추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외상후 성장에 도달하는 이중매개 효과는 대인외상 집단에서는 유의했으나 비대인외상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후 성장 모델에서 외상을 경험한 개인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통해 외상후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해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비대인외상을 경험한 개인에 비해 대인외상을 경험한 개인은 인지적․정서적으로 통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대인외상, 비대인외상, 침습적 반추, 정서접근적 대처, 의도적 반추, 외상후 성장

Abstract

In this study,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interpersonal trauma and impersonal trauma. The specific effects of emotional approach coping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ach group were ident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his end, an accelerated survey through an online consumption survey site was conducted using the Awkward Experience Questionnaire, Event-Related Rumination Scale (K-SCS), Emotional Approaching Coping Scale (EAC), and the Post- Traumatic Growth Scale (K-PTG) for 474 people aged 18 or olde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lso, measurement identity and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AMOS 21.0.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confirmed in both the interpersonal trauma and impersonal trauma groups.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pproach cop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impersonal trauma group but interpersonal trauma group. Consequently,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progress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was empirically demonstrated. In addition, cognitive and emotionally integrated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compared to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impersonal trauma.

keywords
Interpersonal Trauma, Impersonal Trauma, Intrusive Rumination, Emotional Approach Coping, Deliberat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1-17
수정일Revised Date
2024-01-0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1-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