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변화 신념과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2, pp.299-323
https://doi.org/10.17315/kjhp.2024.29.2.005
금서현(Seohyun Keum)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진(Hoon-Jin Lee)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변화 신념(emotion malleability beliefs)과 정서조절방략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인의 안정적인 정서적 특성 중 하나로 알려진 정서 강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관여하는 정서조절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정서조절 과정과 관련된 변인을 정서변화 신념과 정서조절방략으로 세분화한 후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두 변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부정 정서 강도, 긍정 정서 강도,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brooding), 긍정 반추(positive rumination) 및 우울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후, 경로 분석을 통해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변화 신념은 부정 정서 강도, 부정 반추, 우울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정 정서 강도와 우울의 관계를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부정 정서 강도가 높을수록 정서변화 신념이 낮았고 부정 반추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는 높은 우울 수준으로 이어졌다. 부정 정서 강도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 그리고 두 변인을 모두 거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다. 긍정 정서 강도, 긍정 반추는 정서변화 신념 및 우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별을 구분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했을 때, 여성 집단과 달리 남성 집단은 정서변화 신념에서 부정 반추로 이어지는 경로, 부정 정서 강도에서 정서변화 신념, 부정 반추를 매개하여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정서 강도, 정서변화 신념, 반추, 우울

Abstract

In this study, the emotion regulation proc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rumination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emotion regulation process that occurs when affect intensity affects depress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was examined. One-hundred thirty-nine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positive affect intensity,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brooding, positive rumination,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through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brooding, and depression. The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brood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when negative affect intensity was higher, depression increased by weaker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more brooding.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effect via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brooding, and both variables were significant. However, positive affect intensity and positive rumination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depression. In addition, for the male group, the path from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to brooding and the path from negative affect intensity to depression through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brooding were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Affect Intensity,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Rumination, Depress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7-18
수정일Revised Date
2023-08-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1-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