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목표추구 자기조절 및 충동통제 자기조절 개입의 개발 및 효과 검증

The Effectiveness of Impulse Control Self-Regulation Enhancement Intervention and Goal Pursuit Self-Regulation Enhancement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Low Self-Regula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4, pp.683-714
https://doi.org/10.17315/kjhp.2024.29.4.008
이슬아(Seul-Ah Lee)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임아영(Ah Young Lim)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한 자기조절 향상 개입을 자기조절이 낮은 사람들에게 적용하여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의 특정 기능에 중점을 둔 차별적 자기조절 개입(목표추구 개입, 충동통제 개입)을 개발하여 실시하였고, 선행 연구에서 이미 효과성이 검증된 기존 자기조절 개입을 실시한 비교집단, 무처치 대기통제 집단을 사용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18세 이상의 참여자를 목표추구 개입 집단, 충동통제 개입 집단, 비교집단, 무처치 대기통제 집단에 무선할당하였고, 사전, 사후, 추후(개입종료 4주 후)에 걸쳐 자기조절,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긍정 및 부정정서, 우울, 불안, 행동동기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표추구 개입 및 충동통제 개입에서 자기조절, 심리적 안녕감, 긍정정서가 증가하고, 우울, 불안, 부정정서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개입은 무처치 대기통제 집단보다 대부분의 변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기존의 자기조절 개입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서도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를 더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자기조절 향상 개입, 목표추구, 충동통제, 심리적 건강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ewly developed interventions focused on self-regul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with low self-regulation. For this purpose, we created two different interventions - one aimed at goal pursuit and the other focused on impulse control.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se interventions with a traditional self-regulation intervention, which had previously proven effective in other studies, and a wait-control group. Participants with low self-regul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goal pursuit intervention, the impulse control intervention, the comparison group, or the wait-control group. Self-regulation,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behavioral motivation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at a follow-up st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the goal pursuit intervention and the impulse control intervention led to increased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reduced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These interventions were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wait-control group in most variables, and they were also more successful i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self-regulation enhancement intervention, goal pursuit, impulse control, psychological health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2-22
수정일Revised Date
2024-04-1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6-0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