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불안정 애착유형과 SNS정서전염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10.29(이태원)참사를 중심으로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and SNS Emotional contagion on Indirect Trauma: Focusing on the 10.29(Itaewon) Disaste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5, pp.765-785
https://doi.org/10.17315/kjhp.2024.29.5.003
최재광(Jaegwang Choi) (대구교육대학교)
김해솔(Haesol Kim)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신은미(Eunmi Shin)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송원영(Wonyoung Song)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10.29 참사와 관련된 SNS정보를 접촉하였을 때 애착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정서전염과 간접외상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접외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성인 211명을 대상으로 애착유형, SNS정서전염, 10.29 참사로 인한 간접외상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애착불안은 SNS정서전염, 간접외상과의 관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애착회피는 SNS정서전염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간접외상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애착유형에 따른 간접외상과의 관계에서 SNS정서전염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애착불안은 SNS정서전염을 통해 간접외상의 수준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높은 애착회피는 SNS정서전염과 간접외상의 수준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애착불안이 높은 개인은 SNS를 통해 외상사건을 접한 이후 정서에 전염될 가능성이 높고 결국 간접외상을 경험할 수 있지만, 애착회피의 경우 SNS를 통한 외상에 접촉하여도 관련된 정서를 회피하여 SNS정서전염과 간접외상의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10.29 참사 뿐 아니라, SNS를 통해 경험하는 다양한 재난과 관련하여 간접외상을 경험하는 사람에 대한 예방 및 심리치료적 개입 근거로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애착불안, 애착회피, SNS정서전염, 간접외상, 10.29(이태원) 참사

Abstract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indirect trauma that could occur when contacting S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aewon disaster (10.29) and to seek solutions to problems that could effectively solve indirect trauma.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cale that could measure attachment styles, social media emotional contagion, and indirect trauma caused by the Itaewon disaster. A total of 211 Korean adults were surveyed.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nxiety-attachment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NS emotional contagion and indirect trauma. However, avoidance-attach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emotional contagion, although it was unrelated to indirect trauma. Second, anxiety-attachment increased the level of indirect trauma through SNS emotional contagion, while high avoidance-attachment decreased the level of SNS emotional contagion and indirect trauma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NS emotional contagion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 high anxiety-attachment style are more likely to be emotionally contagious after encountering a traumatic event through SNS and eventually experience indirect traum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voidance-attachment, it means that the level of SNS emotional contagion and indirect trauma can be lowered by avoiding related emotions even when contacting trauma through SN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to provide prevention and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or indirect trauma not only for those who have contacted the Itaewon disaster through SNS, but also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catastrophic events through SNS.

keywords
Anxiety-attachment, Avoidance-attachment, SNS emotional contagion, Indirect trauma, 10.29(Itaewon) disaster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0-19
수정일Revised Date
2024-03-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7-0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