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판 종합형 번영척도(K-CIT) 및 단축형 번영척도(K-BIT)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omprehensive Inventory of Thriving(K-CIT) and Brief Inventory of Thriving(K-BI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4, v.29 no.5, pp.861-888
https://doi.org/10.17315/kjhp.2024.29.5.007
전승아(Seungah Jeon)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신주연(Jooyeon Shin)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심예린(Yerin Shim)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심리적 번영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Comprehensive Inventory of Thriving(CIT)과 단축형 척도인 Brief Inventory of Thriving(BIT)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번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간 척도 타당화 번안 절차를 거쳐 한국어판 종합형 번영척도(K-CIT)와 단축형 번영척도(K-BIT) 문항을 완성하고, 국내 거주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64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CIT와 K-BIT는 모두 좋은 내적합치도를 보였으며, K-CIT의 18요인 구조와 K-BIT의 단일요인 구조가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했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K-CIT와 K-BIT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는 중간 정도의 상관을, 삶에 대한 만족과 삶의 의미와는 높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분석 결과, K-CIT 전체척도와 하위요인, K-BIT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모두 예상한 방향대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K-BIT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성별과 연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결혼 상태이거나,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종교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CIT와 K-BIT는 한국 성인의 심리적 번영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이 밝혀졌으며,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실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번영, 종합형 번영척도, 단축형 번영척도, 척도 타당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Comprehensive Inventory of Thriving(CIT) and its short version, the Brief Inventory of Thriving(BIT), in the Korean context. To achieve this, CIT and BIT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rough a cross-cultural validation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645 Korean adults via an online survey. Results of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K-CIT and K-BIT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18-factor structure of the K-CIT and the single-factor structure of the K-BIT showed the best fit for the data. Analysi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vealed that K-CIT and K-BIT showed moderate correlations wi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strong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in life. An analysis of mean differences in the K-BIT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or age, whil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were observed for those who were married, who had a relatively higher income, and who had a religious affili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K-CIT and K-BIT are reliable and valid tools for assessing psychological thriving in Korean adul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K-CIT and K-BIT are discussed.

keywords
flourishing, thriving, K-CIT, K-BIT, scale valid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7-09
수정일Revised Date
2024-07-3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7-3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