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은 경험적으로 지지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와 우울의 기본모형을 확장하여 완벽주의의 기원, 우울 유발의 기제, 그리고 우울 완화의 기제를 탐색하고자 했다. 완벽주의의 기원은 불안정 애착과 그에 따른 조건부 자존감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완벽주의가 우울을 생성하는 기제는 반복적 부정사고일 수 있으되, 이를 자기연민이 완화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성인 232명에게 성인애착 척도(ECR-RS), 조건부 자아존중감 척도(CSE),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FMPS, HMPS), 보속적 사고 질문지(K-PTQ), 통합적 역학센터 우울 척도(K-CES-D), 자기연민 척도(K-SCS) 등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SPSS Process Macro 6번을 이용해 순차 매개모형을, 87번을 이용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되, 연구모형들은 애착의 하위유형인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으로 나누어서 검증되었다. 먼저, 애착 회피에서 출발하여, 조건부 자존감, 평가염려 완벽주의, 반복적 부정사고 등을 차례로 경유하여 우울에 이르는 순차 매개모형은 지지되었다. 이 모형상에서 반복적 부정사고가 우울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연민에 의해 완화되어서, 조절된 매개모형도 성립하였다. 한편, 애착 불안을 독립변인으로 한 분석에서 순차 매개효과는 지지되었으나, 자기연민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발달적 선행요인인 불안정 애착이 가져오는 불안정한 자존감이 작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완벽주의가 우울을 유발하는 인지적 기제인 반복적 사고의 병리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자기연민에 초점을 맞춘 개입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theory that evaluative concerns (EC) perfectionism influences depression has been empirically supported. This study aimed to expand this basic model to explore origins of perfectionism, depression-inducing mechanisms, and its alleviating mechanisms. We explored if possible origins of perfectionism could go back to insecure attachment and subsequent contingent self-esteem (CSE), and whether the mechanism of perfectionism to elicit depression was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 In addition, we attempted to test if self-compassion (SC) could alleviate these pathological effect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lationship Structures Questionnaire (ECR-RS), Contingent Self-Esteem Scale (CS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erseverative Thinking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nd Self-Compass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32 adults in an online survey. The serial mediation model was tested using SPSS Process Macro 6, an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tested using Macro 87. These research models were tested by dividing into attachment subtypes: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First, the mediation model starting from attachment avoidance and reaching depression through CSE, EC perfectionism, and RNT was supported. Additionally, in this model, the effect of RNT on depression was alleviated by SC. Thu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Meanwhile, in the analysis using attachment anxie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ediation effect was supported, although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C was not established. It was discussed that unstable self-esteem brought about by insecure attachment might play a role as a possible origin of perfectionism, The need for intervention focusing on SC was examin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