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자기통제감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은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 역시 채택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도 채택되었다. 넷째, 자기통제감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성취동기에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4도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통제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nse of self-control necessary for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influences this motivation through self-efficacy as a mediating factor. To achieve this, surveys from 300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n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that self-control among university students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was support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self-control influences self-efficacy was also suppor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impacts achievement motivation was confirmed. Finally, the hypothesis that self-control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was supported.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as they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