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0X
본 연구는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 따라 자아위협 수준이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이원상호작용가설을 세워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2 (자아위협 : 고/저) ☓ 2 (지각된 통제감 : 고/저)의 완전무선설계였으며 83명의 대학생이 참가하였다. 자아위협 고조건은 글쓰기 과제 후 부정적 피드백(객관적, 주관적)을 제시함으로써 조작하였고, 자아위협 저조건은 글쓰기 과제 후 긍정적 피드백(객관적, 주관적)을 제시함으로써 조작하였다. 그 후 지각된 통제감 조작을 위해 소리 청취 과제를 실시하였다. 지각된 통제감 고조건은 소리유형, 소리 일시정지, 소리크기 조절에 대한 선택권이 주어졌다. 반면에, 지각된 통제감 저조건은 소리유형, 소리 일시정지, 소리크기 조절에 대한 선택권이 주어지지 않았다. 이후 참가자들은 종속변인 측정과 조작점검을 위해 음료 맛 평가 및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공격 행동에서 자아위협과 지각된 통제감의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통제감 저조건에서 자아위협 고조건이 저조건보다 공격 행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지각된 통제감 고조건에서는 자아위협 고조건과 저조건 간의 공격 행동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아위협을 경험하더라도 지각된 통제감을 높여주면 공격 행동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two-way interaction hypothesis was proposed, suggesting that ego threat would influence aggressive behavior depending on perceived control. This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involv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of 2 (ego threat: high ego threat/low ego threat) × 2 (perceived control: high perceived control/low perceived control) with 83 undergraduate student participants. The high ego threat group received negative feedback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after a writing task, while the low ego threat group received positive feedback. Subsequently, a listening task was conducted to manipulate perceived control. The high perceived control group had options regarding sound type, sound pause, and volume control, whereas the low perceived control group had no options in these areas. Afterward,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ste and evaluate beverages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and were instruc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between ego threat and perceived control on aggressive behavior,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In the simple main effect analysis, for the low perceived control group, the high ego threat group allocated more low-preferred beverages than the low ego threat group. However, for the high perceived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gressive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in the presence of ego threat, increasing perceived control can mitigate aggressive behavio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