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의 형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김의철과 박영신(1998b)이 제안한 연구모형에 의거하여, 가정환경으로 부모지원 부모성취지향 사회경제적지위를, 학교환경으로 교사지원 학교풍토를, 친구환경으로 친구지원을, 사회환경으로 지역과 사회풍토 변인을 포함하였다. 청소년의 심리특성으로는 자기효능감 귀인양식 성취동기 포부수준을, 행동특성은 학업성적 건전한 여가활동 사소한 문제행동과 심각한 일탈행동을 다루었다. 총 분석대상은 남녀 중학교 2, 3학년 5,504명이었으며, 전국 5개 도의 도시와 농촌 중학교를 표집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 청소년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관계효능감이었으며, 가정생활만족도는 부모지원, 학교생활만족도는 교사지원의 영향이 중요하였다. 행동특성과의 관계를 보면, 심각한 일탈행동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가정생활만족도가 낮고, 학업성적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스트레스 심리증상은, 도시 청소년의 경우 자기주장효능감이 낮고 부의 지원이 적으며 운명귀인을 많이 할수록, 농촌 청소년의 경우 운귀인을 많이 하고 관계효능감이 낮을수록 더 많이 나타났다. 스트레스 신체증상은 도시와 농촌 모두 사소한 문제행동을 많이 하는 청소년일수록 사회풍토가 정의롭지 못하다고 지각할수록 더 높았다. 셋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은 심리, 행동특성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사회환경에 대한 지각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었다. 도시 청소년이 농촌 청소년보다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포부수준이 높고 여가활동도 건전하게 하나 농촌 청소년은 심각한 일탈행동과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증상이 더 많았다. 한편 가정생활만족도는 도시 청소년이, 학교생활만족도는 농촌 청소년이 더 높았다. 환경의 면에서 볼 때, 도시 청소년일수록 부모가 성취지향이고 더 많은 지원을, 농촌 청소년일수록 교사가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도시 청소년은 학교풍토를 보다 학업지향적으로, 농촌 청소년은 보다 인간관계지향적으로 지각하였다. 사회풍토에 대해 도시 청소년은 인맥중심, 학력중심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높고, 농촌 청소년은 보다 정의로운 것으로 지각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결과는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과 밀접히 관련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사회환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life-satisfaction level of urban and rural students. A total of 5,504 grade eight and nine students living in five province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the of influence family, school, friends, and Korean society have on their mental health. To assess adolescents' psychological functioning, the following aspects were assessed: self-efficacy, attributional style,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aspiration, academic grade,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blem behavior, and delinquent behavior. To assess the role of family,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cademic pressure,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parent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role of the school environment, school ethos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teach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and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were also measured.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al 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overall life-satisfaction. For familial life-satisfaction, those students, who had higher familial life satisfaction scores, had higher scores on parental social support and low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Those students, who had higher school satisfaction scores, had higher scores on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teachers and academic grade. For psychological stress level,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s and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as unjust. Comparing urban and rural students, a different pattern of results was obtained. Urban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self-efficacy subscales, academic aspiration, and participated in healthy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y had low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and stress level. For urban students, stress was correlated with lower self-assertive efficacy, father's social support, and higher fate attribution. For rural students, stress was correlated with lower relational efficacy and higher luck attribution. Finally, a different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family, school, and society. Detailed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se result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