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뇌졸중 환자의 A 형 행동 유형과 분노

Type A Behavior and Anger in Stroke Pati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1999, v.4 no.1, pp.15-26
전겸구 (대구대 재활심리학과)
전중선 (포전의과대 재활의학과)
안신호 (영남대 재활의학과)
장성호 (영남대 재활의학과)
곽은희 (연세대 재활의학과)
C.D. Spielberger (Psychology University of South Florida)

초록

본 논문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A 행동 유형과 분노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42명의 뇌졸중 환자와 36명의 요통 환자들이었다.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척도는 A 행동 유형 척도(긴장, 야심, 활동성, 및 탈억제)와 분노 척도(상태 분노, 특성 분노, 분노 억제, 분노 표출, 및 분노 통제)이었다. 두 집단간에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뇌졸중 환자 집단이 요통 환자 집단에 비하여 특성분노와 긴장 척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logistic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성 분노 변인이 유의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에 긴장은 그렇지 못했다. 뇌졸중 환자를 뇌경색 집단과 뇌출혈 집단으로 구분해서 비교한 결과, 뇌경색 집단이 뇌출혈 집단에 비하여 특성 분노, 분노 억제, 분노 표출, 분노 통제, 긴장과 야심 척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최근 연구 결과들과 일관되게 A 행동 유형 개념보다는 분노가 뇌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더 의미 있는 심리적 변인임을 암시하고 있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 A Behavior (TAB) and anger in cardiovascular patients who had suffered a stroke. The participants were 42 stroke patients who were compared with 36 low back pain patients. TAB and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were assessed by the Korean adaptation/translation of the Eysenck and Fulker (1983) TAB scale and Spielberger's (988)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roke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low back pain patients on the TAB Tenseness subscale and the ST AX! Trait Anger Scale. Howeve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rait anger, but not TAB,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stroke. When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cerebral infarction vs. hemorrhage groups, the cerebral infarction group had higher STAX! Trait anger, Anger-In, Anger-Out, Anger-Control, and higher TAB Tenseness and Ambition scores than the hemorrhag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anger but not TAB was an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that contributed to stroke. Differences in TAB tenseness and ambition and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were also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particular type of stroke that was experienc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