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트레스 및 대처가 신체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and Coping on Body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1999, v.4 no.1, pp.80-93
이인혜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자연발생적인 생활스트레스와 신체지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가 문제중심 또는 정서중심대처와 상호작용할 때 신체지각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193명의 남·녀 대학생들이었고, 이들을 스트레스수준과 대처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스트레스수준이 높고 문제중심대처를 하는 집단과 정서중심대처를 하는 집단 그리고 스트레스수준이 낮으면서 문제중심대처를 하는 집단과 정서중심대처를 하는 집단. 본 연구에서는 최해림(1986)의 스트레스-대응질문지, 김정희(1987)가 번안한 Folkman과 Lazarus의 스트레스대처 척도, 그리필 Miller 등(1981)의 신체의식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상관관계분석, 이원변량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수준이 높을수록 신체내부의 감각변화(사적 신체지각)와 외현적 신체모습(공적 신체지각)에 예민했고, 자신의 신체능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문제중심대처와 정서중심대처 모두 사적 신체지각과는 관계가 없고, 공적 신체지각 및 신체능력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가 자기제어적 기능을 통해 신체적 각성을 낮춘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했다. 그리고 사적 및 공적 신체지각에서는 스트레스 효과만 유의미했고, 신체능력에서는 대처 효과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대처의 관계에서 전체적인 대처의 중재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나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공적 신체지각과 신체능력에서는 특정 스트레스와 대처가 상호작용하여 설명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수준이 높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논의를 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and body perception (private/public body perception, and body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focused and/or emotion-focused coping on body perception. The measu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the stress (Choi, 1986) and coping (Kim, 1987) scale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Miller et al., 1981). Based on their scores on both the stress and coping scales, 193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high on 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N=29), high o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N=21), low on 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N=25) , and low o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N=25).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ackage. The employed statistical methods wer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2 × 2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ivate/public body perception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ody competence. The fact that stress and private/public body perception correlated positively indicates that subjects with a high stress score attend to both their, internal bodily sensations and external body, appearances. Second, both problem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correlated positively - not negatively - with public body percep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ping and private body percep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a self-regulatory function of coping to reduce one's hyper-arousal was not confirmed. Third, a general interactive effect of stress and coping on body perception was not confirmed; however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of specific stress and coping improved with just a little more variance to explain the scores of public body perception and body competence. Fourth, it was clear that the effect of stress on private body perception, and the effect of coping on body competence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on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body perception was not confirmed, but only a local interaction of two variables was observed in this study.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ot so highly stressed as to need the mediating function of cop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