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기차이, 정서 및 신체증상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screpancies, Emotion, and Physical Symptom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0, v.5 no.2, pp.193-208
강혜자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자기차이이론의 관점에서 자기차이가 정서 및 신체증상과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자기질문지, 정서질문지 및 신체증상질문지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제: 이상 차이와 우울 간의 상관이 유의하였고, 실제:당위 차이와 불안의 상관 역시 유의하여 자기차이이론의 기본 가설이 지지되었다. (2) 자기차이와 분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제: 이상 차이와 분노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제: 당위 차이와 특성분노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3) 차이감소기대와 정적 정서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4) 자기차이와 신체증상의 상관분석 결과, 실제: 이상 차이와 두통, 실제: 이상 차이와 소화증상과의 상관이 각각 유의하였고, 실제: 당위 차이와 소화증상의 상관도 유의하였다. (5) 자기차이와 정서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를 보면, 실제: 당위 차이는 소화증상에 영향을 주었고, 불안은 네 가지 신체증상들(두통, 소화증상, 불면증, 및 심장증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태분노는 불면증과 심장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을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screpancy, discrepancy reduction expectancy, emotion and physical symptoms based on the self-discrepancy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surveys using selves questionnaire, emotion questionnaire and physical symptoms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number of 247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presented below: (1)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ideal discrepancy and depress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ought discrepancy and anxiety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have led to the support of the basic hypothesis of self-discrepancy theory. (2)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discrepancy and anger,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ideal discrepancy and anger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ought discrepancy and trait anger was significant. (3) The correlation between discrepancy reduction expectancy and positive emotion was significant. (4)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physical health,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ideal discrepancy and headach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ideal discrepancy and digestive symptoms, have both been found to be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actual ought discrepancy and digestive symptoms were also significant. (5)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gestive symptom was affected by actual: ought discrepancy, 4 physical symptoms (headaches, digestive symptoms, insomnia, and heart symptoms) were affected by anxiety, and insomnia and heart symptoms were affected by state-ange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