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보통신산업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요인들

Organization-level determinants of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in Information Technology(IT) industr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2, v.7 no.3, pp.369-389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이상욱 (성균관대학교)

초록

정보통신산업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신체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수준의 설명 요인들을 가려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질병 수준 각각을 예언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한다고 가정한 요인들은 24개 요인이었다. 정보통신산업의 조직에서 종사하는 사무직 근로자 214명의 자료를 중다회귀분석과 전향적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두 분석에서 일관되는 결과를 논의하였다. 또한 신체질병 유무를 준거로 정준판별분석과 단계별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를 보면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설명하는 중요 요인들은 신체질병, 형평, 직무성질, 수행압력, 회사만족, 애사심이었다. 신체질병을 설명하는 중요 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인지욕구충족, 동료와 인간관계, 수행압력, 역할갈등, 이직의도였다. 신체질병 유무에 대한 정준판별분석 결과에서는 수행결과 환류, 자율 및 권한위임, 의사소통, 직무성질, 인지욕구충족, 리더계획성, 리더와 인간관계, 동료와 인간관계, 이직의도 등 9개 요인들이 유의하게 판별하는 요인들이었다. 이 가운데 자율 및 권한위임, 형평, 리더계획성, 이직의도 등 4개 예언변인을 사용하여 질병유무를 예언했을 때, 질병유무 판별의 적중률은 83.2%로서 기저선 예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공변량구조모형분석을 통해서 정보통신산업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질병 수준을 설명하는 인과모형을 가꾸어서 제시하였다.

keywords
health, job stress, physical illness,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health, job stress, physical illness,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건강, 직무스트레스, 신체질병, 공변량구조모형분석, 정보통신산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organization-level determinants in predicting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Based upon the study of Hahn, Hahn, Kim & Sung(1988) and Hahn(1995), 24 constructs were used as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Data obtained from 214 white-colored worke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any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1) the common predictors of job stress were perceived physical illness, equity, job itself, performance pressure from the one's superio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2) the common predictors of perceived physical illness were job stress, fulfillment of cognitive nee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performance pressure from the one's superior,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Predictors discriminating between groups who perceived physical illness and groups who did not were 9 factors; feedback, autonomy, communication, job characteristics, fulfillment of cognitive need, leaders' ability to plan, relationships with one's superior,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turnover intention. 83.2% of total cases were significantly correctly classified by 4 major discriminant variables. Finally, based upo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 tentative causal model about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factors with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was explained good-fit and parsimoniously.

keywords
health, job stress, physical illness,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health, job stress, physical illness,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건강, 직무스트레스, 신체질병, 공변량구조모형분석, 정보통신산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