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넷게임 과 사용 청소년을 선별하여 이들에게 적합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터넷게임 중독 진단 척도 상에서 상위 10%에 해당되는 72점 이상이면서 하루 게임 이용시간이 2시간 30분 이상인 중학생(치료집단: 42명, 통제집단: 30명)들 이었다. 게임중독 인지행동 치료프로그램 내용으로는 (1) 게임 행동에 대한 인식 및 인지적 왜곡 수정하기 (2) 적절한 대안활동 찾기 (3) 자기 통제력 증진하기 (4) 게임과 관련된 대인갈등 해소하기 (5) 재발방지 - 위험상황에 대처하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은 9회의 치료회기와 부모교육 2회로 총 11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1회 1시간 30분씩 시행되었다. 치료효과 검증을 위하여 치료 전, 치료 후, 그리고 8주의 간격을 두고 추후평가를 실시하여 통제집단의 측정치와 사전 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치료효과는 첫째, 게임이용시간이 치료 전 347분에서 추후 평가 시 89분으로 대폭 감소했으며,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한 중독 경향성도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관련된 심리적인 변인에서 충동성과 우울감이 추후평가 시까지 감소현상이 유지되었다. 셋째, 치료집단의 집단내 변화에서는 가족관계, 자기통제감, 불안감, 외로움과 같은 변인에서 긍정적인 변화 경향성을 보였다. 넷째, 보호자와 담임교사가 평가한 치료효과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치료효과에 관련이 있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지속적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 게임 조절 의사, 치료에 대한 평가의 변화가 31% 설명 량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인터넷 게임중독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논의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에 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high risk studen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Seven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diagnostic scale and game time. Among 72 students, 42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our program and 30 student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is program consisted of 9 therapy sessions and 2 parents education session. Each session was held for an hour and half per week. It consists of (1) recognizing game behavior and revising cognitive distortion (2) discovering appropriate alternative behavior (3) uplifting self-control (4) resolving game-related relational conflicts (5) preventing relapse - managing crisis situation. The measurements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gam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in Daily game tim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diagnostic scal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generally maintained at the 8 weeks follow-up test. 2)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also maintained. 3) There were positive tendencies in family relationships, self-control, anxiety and loneliness within therapy group. 4) There were positive results in parents and home room teacher's evaluation. 5)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explanation variable at the range of 31%. On the basis of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for high risk studen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was effective in protecting internet game addiction. Finally, implic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