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비교가 분노경험, 주관안녕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n Anger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3, v.8 no.1, pp.85-112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장은영 (한양대학교)

초록

사회비교의 자기조절과정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비교의 동기와 이 비교동기의 충족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측정치를 개발하고, 이 변인들이 단독으로나 상호작용에 따라서 분노경험, 주관안녕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전국 3개 지역에서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문항분석을 통하여 자기향상동기, 자기평가동기 및 자기고양동기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세 비교동기의 충족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도 개발하였다. 사회비교 동기, 충족수준 및 전반적 사회비교경향(INCOM)이 상태분노, 주관안녕 및 건강지각에 각각 미치는 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보면 자기향상동기가 높으면서 동시에 향상동기의 충족수준도 높지만 고양동기의 충족수준이 낮을수록 상태분노가 높았다. 그리고 자기평가동기의 충족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안녕인지가 높았다. 자기평가동기의 충족된 수준이 높아서 자기평가동기 수준은 낮으면서 자기향상동기가 높을수록 주관안녕정서가 높았다. 한편 향상동기, 평가동기, 고양동기 세 동기들의 충족수준이 모두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건강이 더 좋다고 평가하여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비교의 동기와 충족수준에 따라서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이 달라지는 결과는 사회비교의 자기조절이론을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방향도 논의하였다.

keywords
social comparison, anger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social comparison motive, fulfillment of social comparison motive, 사회비교, 분노경험, 주관안녕, 건강지각, 사회비교동기, 비교동기 충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of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fulfillment of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ives and fulfillment upon anger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 perception.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363 students from three regional areas in Korea. On the basis of self-regulation theory of social comparisons processes,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fulfillment of those motives would influence upon the above three dependents variables.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obtain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the of self-improvement motive, the fulfillment of self-development motive, and the fulfillment of self-enhancement motive on the anger experi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the self-enhancement motive, the fulfillment of self-enhancement motive, and the fulfillment of self-development motiv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 Third,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fulfillment level of three comparison motives on health perception was also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derived form self-regulation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social comparison, anger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social comparison motive, fulfillment of social comparison motive, 사회비교, 분노경험, 주관안녕, 건강지각, 사회비교동기, 비교동기 충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