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금연 성공의 예측 요인: 입원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Abstention Following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3, v.8 no.2, pp.243-259
서경현 (삼육대학교)
유제민 (강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신체․생리적 변인, 흡연행동 변인, 및 심리적 변인들로 1년 동안의 금연성공 요인을 탐색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입원(4박 5일)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73명이었는데, 이들의 평균 연령은 44.89(SD=9.61)세 이었으며, 남성이 65명이고 여성이 8명이었다. Fagerstrom의 니코틴 의존도 검사, 아이젱크 성격검사, 다차원적 대처 척도, 및 Jerusalem과 Schwarzer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참여자에게 주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의학적 검사의 측정치도 분석에 포함되었다. 43가지 변인들로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 대처, 체념, 고집, 정신병적 경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체중 및 수면장애가 1년 동안의 장기적 금연 성공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적극적 대처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는 금연의 장기적 성공에 대한 심리적 변인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keywords
stop smoking,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data mining, coping, personality, stop smoking,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data mining, coping, personality, 금연, 입원 금연 프로그램, 데이터 마이닝, 대처, 성격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with demographic profiles, phys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smok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articipants were 73 smokers (65 males, 8 females) participated in an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hose mean age was 44.89 (SD=9.61).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Eysenck Personality Inventory,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and Jerusalem and Schwarzer's Self-Efficacy Scale. And data from variety of clinical measuremen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Data Mining Answer Tree was performed with 43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active coping, renunciation, obstinacy, psychoticism, neuroticism, body weight, and sleep disor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ill 1-year after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Active coping were most determinant variable for long-term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hese results suggest rol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for long-term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keywords
stop smoking,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data mining, coping, personality, stop smoking,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data mining, coping, personality, 금연, 입원 금연 프로그램, 데이터 마이닝, 대처, 성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