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낙관주의 성향과 유도된 기분 상태가 만성 통증 지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spositional optimism and induced mood state on chronic pain percep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3, v.8 no.3, pp.457-472
신정원 (제천정신병원)
이인혜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만성 통증의 지각에 대한 낙관주의 성향과 기분 상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총 84명의 만성 통증을 가진 대학생(여48명, 남36명)들을 낙관주의 성향 점수에 의해 무선적으로 각각 낙관주의 상․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기분 유발 실험을 위해 실험실에서 특정 음악(행복한․슬픈)을 잠시 동안 듣게 한 후 자신의 인생에서 행복했던(혹은 슬펐던)사건에 대해 자세히 회상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축형 McGill 통증 질문지와 기분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높은 낙관주의 성향 집단은 낮은 낙관주의 성향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낮은 통증 감각과 통증 강도를 지각하였다. 두 번째, 행복한 기분 집단은 슬픈 기분 집단에 비해 더 낮은 통증 감각과 통증 강도를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낙관주의 성향과 기분 상태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낙관주의 성향 집단과 행복한 기분 상태가 만성 통증에 대해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성 통증에 대해 낙관주의 성향과 기분 상태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성 통증의 치료를 위해서 성격 특질적 요인이나 상황적 요인 중 한가지만을 향상시키기 보다는 두 요인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keywords
만성 통증, 낙관주의 성향, 기분 상태, 성격 특질적 요인, 상황적 요인, chronic pain, dispositional optimism, mood state, personality trait, situational factor, chronic pain, dispositional optimism, mood state, personality trait, situational factor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spositional optimism and mood state on chronic pain. A total of 118 undergraduate students with pain syndrome(48 females and 36 mal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higher and lower dispositional optimism groups on optimism scores. Then subjects wase tested individually in a small room with sessions lasting approximately half hour. After the first minute of specific music(happy or sad music) exposur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call either a happy or a sad event from their life and to write about it in detail. Finally, the participants was completed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and Mood Questionnaire. The employed statistical methods was 2x2 ANOVA(high or low-level optimism/happy or sad m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er dispositional optimism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pain sensory and intensity than lower dispositional optimism group. Second, happy mood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pain sensory and intensity than sad mood group. Third, interaction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mood stat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 suggests that higher dispositional optimism group and happy mood are related to positive effect on chronic pai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mood state on chronic pain. Therefore, it would rather improve both personality trait and situational factors than one factor in chronic pain. This results will be useful in planning positive psychology care services for chronic pain patients.

keywords
만성 통증, 낙관주의 성향, 기분 상태, 성격 특질적 요인, 상황적 요인, chronic pain, dispositional optimism, mood state, personality trait, situational factor, chronic pain, dispositional optimism, mood state, personality trait, situational facto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