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기분, 우울, 불안,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스트레스(생활사건과 사소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회복환경이 완화시켜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참가자들(186명)은 1주일 동안 하루 5회씩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전송 받아 그 순간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에 대한 느낌을 회복환경지각척도에다 평가하였다. 1주일 뒤 참가자들은 지난 1주일 동안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을 몇 개의 질문지에 평가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 스트레스를 많이 겪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고, (2) 회복환경에 많이 노출될수록 기분이 향상되었고, (3) 회복환경이 생활사건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혹은 긍정적 영향을 증폭)시켜 기분을 향상시켰으며, (4) 회복환경이 생활사건과 사소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켜 불안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회복환경과 기분향상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회복환경이 사소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생활사건에 대해서도 완화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재효과(상호작용효과)들 대부분이 한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이었기 때문에 주의해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단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restorative environment might buffer or moderate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life events and hassles) on psychological well-being(mood, depression, anxiety, physical symptom). During a week, cellular phone text messages were sent to South Korean undergraduates(n = 186) five times a day. On receiving the messages, participants rated the restorativeness of their surroundings "here and now" on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After a week, participants rated thei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reference to the past week on several questionnaire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1) high levels of stress were related to low psychological well-being; (2) high levels of restorative environment were related to high mood; (3) restorative environment buffered the negative effect(or intensified the positive effect) of life events on mood, and therefore elevated mood; and (4) restorative environment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life events and hassles on anxiety, and therefore mitigated anxiety. This study show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storative environment and mood elevation. This study also shows the possibility that restorative environment can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not only hassles but also life events. However, most of the moderator effects(interaction effects) found in this study were marginally significant, so they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