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관련 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4, v.9 no.1, pp.69-84
조희숙 (강원대학교)
이희원
김춘배 (연세대학교)
정헌재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국내 건강관련행동 연구를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계량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행동 개선을 위한 건강신념모형의 구성요소별 통합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83편의 연구논문 중 계량적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64편으로 이 중 건강행동 연구가 16편, 환자역할행동 연구가 48편으로 주로 치료순응도 향상을 위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건강행동의 경우 건강신념모형의 모든 구성요소의 통합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큰 효과를 미치는 구성요소는 행동 수행에 대한 장애요인(d=-0.5757)으로 장애요인을 낮게 인지할수록 건강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환자역할행동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행동 수행에 대한 환자 교육을 통한 행동계기 제공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d=2.0389), 행동 수행에 대한 편익의 인지 또한 치료순응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던 반면(d=0.6540), 질병의 심각성과 질병에 이환될 가능성의 효과는 낮은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건강행동 및 환자역할행동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겁주기’ 교육방법 보다는 행동 변화로 연계될 수 있는 순기능적 이익을 주지시키는 방법과 장애요인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적극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건강신념모형, 건강관련행동, 메타분석, 한국인, Health Belief Model, Health Related Behavior, Meta-analysis, Korean, Health Belief Model, Health Related Behavior, Meta-analysis,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results from 64 domestic studies about health related behavior applied of health belief model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mponents on behavior change by using meta-analysis. We collected the existing literatures by using web search of 'health belief model', ‘health behavior’, 'illness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as key words and by reviewing content of journals.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SAS program. Among 83 articles, 64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meta-analysis. All the components of health belief model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behavior with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from 0.35 to 0.57. The largest effects were barrier on actions of health behavior. However, barrier, benefit and cue to action had effects for only sick role behavior. Overall, these investigation provide very substantial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individual health related behavior. Strategic intervention based on health related behavior model showed clear advantage in improvement of behavioral change.

keywords
건강신념모형, 건강관련행동, 메타분석, 한국인, Health Belief Model, Health Related Behavior, Meta-analysis, Korean, Health Belief Model, Health Related Behavior, Meta-analysis, Korean

참고문헌

1.

강윤주, (1997) 비만아동 및 청소년의 체중조절 경험과 비만관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

구미옥, (1990) 건강신념 모델과 한국인 만성질환자의 환자역할 행동,

3.

김순덕, (1988) 일부 농촌 부인의 자궁경부암 집단 검진 시 수진과 관련된 결정요인의 분석연구,

4.

김은주, (1987) 우리나라 일부 중년층 남녀의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동 이행에 관한 연구,

5.

박영주, (2000) 건강증진행동 설명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6.

배상수, (1993) 질병예방 및 의료이용행동,

7.

송혜향, (1998) 의학,간호학,사회과학 연구의 메타분석법, 청문각

8.

이경희, (1986)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자궁경부암에 대한 관심도 및 집단검진에 관한 연구,

9.

이영휘, (1988) 충남 일부주민의 건강통제의 성격과 건강 행동과의 관계연구,

10.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 (1995)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dition,

11.

Ajzen, I., , (1986)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12.

Ajzen,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3.

I, (1991185-204) Predic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from Behavioral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4.

Bandura,A, (1977) Self-Efficacy: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15.

Becker,M.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16.

Becker, (1975) Socio- behavior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ith health and medical care recommendations,

17.

Brownman, G. P., , (1995) The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cycle: a conceptual tool for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18.

Champion, (1987) The relationship of breast self-examination to health belief model varianc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

Fishbein, (1975)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20.

Jenicek, M., , (1995) Epidemiology: The logic of modern medicine(IX. Meta-analysis in Medicine). ,

21.

& Cobb, (1966)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22.

Kelly,J.T.,, (1990) Development of practice parameters by physician organizations,

23.

Rosenstock,I.M, (1974)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24.

Strecher, P., , (1997)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ition.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