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제시 책략척도의 타당도 검증

Cross-Cultural Evidence for Validity of a Self-Presentation Tactics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6, v.10 no.1, pp.115-135
이석재(Suk-Jae Lee)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13가지 자기제시 책략을 사용하는 경향을 측정하는 자기제시 책략척도(Lee, Quigley, Nesler, & Tedeschi, 1995)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1)자기제시 책략척도가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고, (2)자기제시 책략이 이원구조(방어적 책략과 자기주장적 책략)를 가지며, (3)남자는 여자보다 자기주장적 책략을 더 자주 사용하였음을 보였다. 논의에서는 개인차 변인으로서 자기제시 경향이 자기본위적 편향을 조정하는 역할과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개인주의-집합주의의 문화적 속성이 자기제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본 척도의 예언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과제로 제안하였다.

keywords

Abstract

A Self-Presentation Tactics Scale developed by Lee et al.(1995),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proclivity for using 13 self-presentation tactics, was translated into Korean. Two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scale. Evidence for discriminant and construct validity is presen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the translated version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s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b)self-presentation tactics consist of two components: defensive and assertive tactics, and (c)males a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use assertive self-presentation tactics.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Self-Presentation Tactics Scale for future research on both the impacts of cultural factors such as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self-presentati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serving attributional bias is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