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집단구성원의 태도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내집단규범의 영향: 집단극화의 동기적 기제의 탐색

The Effect of Social Value and Ingroup Norm on Group Member's Attitude: A Search for Motivational Process of Group Polariz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6, v.10 no.1, pp.99-113
성한기(Han Gee Seong)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집단극화에 관한 설명 중 집단구성원의 태도 결정 과정에 관한 두 이론의 상이한 주장을 2개의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사회비교이론은 사회적 가치와 내집단규범의 절충에 의해서, 자기범주화이론은 내집단규범에의 동조에 의해서 태도가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이를 개인의 태도, 이상(理想) 및 내집단규범 추정치를 비교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고 보고, 사회적 가치의 명료성 수준에 따라서 세 측정치간의 차이가 달라서 각 이론이 잘 적용되는 조건이 다를 것으로 추론하였다. 즉, 가치 명료 조건에서는 사회비교이론의 주장대로 개인 태도는 내집단보다 더 바람직하고 이상보다는 덜 바람직할 것이며, 가치 불명료 조건에서는 자기범주화이론의 주장대로 세 측정치간에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설화하였다. 모험-보수 차원의 태도를 측정한 실험 1에서는 가치 명료 조건에서만 가설이 지지되었으며, 일반적인 사회적 요망도를 조작한 실험 2에서는 두 조건에서 모두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리고 실험 2의 두 조건에서 유의한 극화 효과를 얻음으로써 태도의 결정 과정은 달라도 결과는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controversy on the process of group member's attitude formation between two theories about group polarization. Social comparison theory suggests that group member's attitude is compromised between social value and ingroup norm, on the other h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proposes that it is determined by conformity to ingroup norm. This problem was likely to be solved by comparisons among personal attitude, ideal and estimated ingroup norm, and these comparisons we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value clearness.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personal attitude would be more desirable than ingroup norm but less desirable than ideal in value-clean condition, and three measures would be no difference in value-unclean condi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hich measured attitude on risky-conservative dimension supported the hypothesis only in value-clean condition. But the results of experiment 2 which manipulated general social desirability supported all hypotheses of both condition and showed significant polarization effect in both condi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comparision theory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have their own condition more suitably applicabl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