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어머니에 대한 배려가 아동의 과제수행 열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cern for Mother on Industriousness in Performing Task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6, v.10 no.1, pp.159-170
정영숙(Young-Sook Chong)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과제수행의 지속 시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어머니에 대한 배려의 효과를 보여준 정영숙(1994)의 결과를 종속변인을 달리하여 반복검증하고자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른손잡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선물이 추가되는 집단, 어머니선물이 추가되는 집단, 그리고 선물에 대한 언급이 없는 통제집단에서 일정한 시간 안에 신체적으로 힘들고 고된 과제를 어느 정도 열심히 수행하는지(과제수행의 열심도)를 측정하였다. 3분짜리 연습시행을 2회 시킨 후 15분간의 본 시행에서의 수행량을 측정하였던 실험1에서는 남, 여에 따라 수행 양상이 달랐다. 남자 아동의 경우, 어머니선물이 추가되는 조건의 아동들은 자기선물이 추가되는 조건의 아동들이나 통제집단의 아동들보다 힘든 과제인 왼손으로 글자쓰기를 더 열심히 하였으나, 자기선물이 추가되는 조건의 아동들과 통제집단의 아동들 간에는 수행에 차이가 없었다. 여자 아동의 경우에는 세 조건 간의 수행에서 차이가 없었다. 성차의 효과를 줄이는 방안으로 연습시행의 시간을 7분 30초로 늘여 2회의 연습을 시킨 실험2에서는 실험1에서 나타났던 남, 여 간의 수행 양상의 차이가 사라졌고, 실험1에 참여한 남자아동들에게서 나타난 양상과 동일한 결과를 얻어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에게 득이 생기는 경우보다 어머니에게 득이 생기는 경우에 아동들이 힘든 과제를 더 오래 수행하였던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기에게 생기는 득으로 인한 자기통제의 한계성과 개인이 좋아하는 타인에게 생기는 득으로 인한 자기통제의 우월성을 반복적으로 입증해주었다.

keywords
concern for mother, industriousness in performing task, self-control

Abstract

Two experiments using industriousness as dependent variable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powerful effect of concern for mother on self-control in working hard setting. Fifth grade right-handed children who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copied mirror-image letters with their left hand. This task was very laborious and tedious to children. Industriousness in performing task was measured based on individual performance in exercise session. Children participating in experiment 1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sex. Male children in the condition of reward for mother performed more ardently than those both in reward for self condition and in control condition.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among conditions in female children. In experiment 2 making exercise time longer, there disappeared the sex difference found in experiment 1. The result of experiment 2 was identical with the result of obtained in male subjects in experiment 1.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Chong, 1994). This result supported Chong's proposal for sources of self-control(1994): The effect of self-control to get one's own benefit is limited but the effect of self-control to give benefit to significant other is powerful.

keywords
concern for mother, industriousness in performing task, self-control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