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탈세에 대한 형평성 효과

The Effect of Equity on Tax Evas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6, v.10 no.2, pp.23-33
류윤상(Yun-Sang Yu)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박광배(Kwang-Bae Park)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김유진(Yu-Gean Kim)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적 상황(simulation)을 통하여 납세에 대한 형평성 판단이 탈세행동을 유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들과 실제 사업자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하였다: (1) 대학생들은 수직적 형평성이 파기된 경우 다른 형평성이 파기된 경우보다 더 심한 탈세행위를 보일 것이고; (2) 사업자들은 수평적 형평성과 교환적 형평성이 파기된 경우 더 심한 탈세행위를 보일 것이다. 이 사실들의 근거는 수직적 형평성 판단은 수평적 형평성 판단에 비하여 실질적인 결과의 비교보다는 가치관과 규범에 더 많이 좌우되고, 실제 경제생활을 하지 않는 대학생들은 실제 사업자들에 비하여 더 규범적인 형평성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 때문이다. 컴퓨터에 의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2가지 중요한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조세의 형평성이 파기되면 탈세 행동이 유발된다. 둘째, 규범처리모형에 의해 형평성 판단을 하는 납세자는 주로 수직적 형평성에 주목하여 납세행위를 하는 반면, 결과처리모형에 의해 형평성 판단을 하는 납세자는 주로 수평적 형평성에 주목하여 납세행위를 한다. 실제적인 조세정책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quity on tax evasion. Two groups of subject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a simulated business computer game. One group was college students and the other group was small business owners. It was expected that the judgment of vertical equity is strongly influenced by personal norms and valu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whereas the judgment of horizontal equity is more a function of the balance in actual outcomes. It was also expected that the college students' judgment of equity is strongly influenced by personal norms and value, whereas the equity judgment of business owners is more influenced by the actual outcomes. With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ested: (1) College students react sensitively to vertical inequity and show a greater degree of tax evasion when vertical equity is violated than when other types of equity are violated; (2) business owners react sensitively to horizontal inequity and show a greater degree of tax evasion when horizontal equity is violated than when other types of equity are violated. Both hypotheses were clearly supported.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violation of any type of equity increases tax evas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ubject.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