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비전형적인 구성원과 사회 비교 유형이 집단과 개인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ypical Members and the Type of Social Comparison on the Evaluations of Groups and Individual Members of That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7, v.11 no.2, pp.147-157
전우영(Woo-Young Chu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다수의 구성원이 낮은 시험 점수를 받은 집단에 시험 점수가 매우 높은 비전형적인 구성원이 포함되었을 때, 그를 포함한 집단 전체와 비전형적인 구성원 외의 다른 개인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비전형적인 구성원의 효과는 사회적 비교 유형에 따라 달라졌다. 집단내 비교 시에는, 시험 점수가 낮은, 다수를 집단대표정보로 지각하였다. 그 결과,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집단에 대한 평가는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이 포함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집단간 비교 시에는, 두 집단의 차이를 가장 잘 변별시켜 주는, 시험 점수가 높은, 비전형적인 구성원을 집단대표정보로 지각하였다. 그 결과,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이 포함된 집단을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개인에 대한 평가 시에는, 집단내 비교 조건 과 집단간 비교 조건 모두에서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과 다른 개인들 간에 대비효과가 나타났다. 즉,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이 포함되지 않은 조건보다 포함된 조건에서 시험 점수가 동일한 개인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시험 점수가 매우 낮은 구성원들에 대한 평가는 시험 점수가 높은 구성원의 유무와 상관없이 동일했다. 즉 비전형적인 사례와 점수의 차이가 매우 컸던 개인들에게는 대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가 고정관념의 변화와 행복감에 대한 연구들에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subjects' evaluations of groups and individual members of that groups composed of a majority of persons with low test scores and atypical persons with high test scores. As a result, the effect of atypical persons on the impression ratings depended on the type of social comparison. First with regard to the ratings of groups, when subjects made within-group comparisons, they perceived the majority (low scorers) as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of groups. As a result, ratings of the groups did not differ whether or not there was atypical high-scoring members. However, when subjects made between-group comparisons, the atypical high-scorers(who accentuated the difference in between-group comparisons) were perceived as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of groups. That is, subjects rated the group with the high-scorers more positively than the group without them. With regard to the ratings of individual members, there were contrast effects between the high-scorers and the rests of the group members in both the within-comparison and between-comparison conditions. Ratings of the test scores of individuals were more negative when there were atypical high-scoring members in the group than there was none. However ratings of individuals with extremely low scores did not differ whether there were high-scoring members or not. That is, no contrast effects appeared in the ratings of individual members whose scores were extremely different from high-scoring members. Implications of the result to the study of stereotype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