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과제수행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집단구성원에 대한 결과편파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uccess and Failure in the Task Performance on Outcome-Biased Inferenc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1, pp.103-119
송관재(Kwan-Jae Song)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수애(Su-Ae Par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피험자들이 내외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기질적 추론에 하는데 있어서 과제수행의 성공과 실패가 결과편파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정한 과제에 기초하여 피험자들을 내외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집단의 과제수행결과를 조작하였다. 그런 다음 피험자들의 내외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평가 및 추론을 살펴보았다. 피험자들이 내외집단으로 구별된 경우 내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추론 및 평가에서는 과제수행에서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결과편파적 추론이 달리 나타났다. 피험자들은 내집단이 과제수행에서 성공하였을 때 내집단 구성원들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추론하는 결과편파적 추론을 보였다. 내집단이 과제수행에서 실패하였을 때는 내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추론 및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집단소속감에 따른 내집단 편애효과만 나타났다. 피험자들의 외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평가 및 추론에서는 과제수행에서의 성공과 실패에 관계없이 결과편파적 추론이 나타나지 않았다. 외집단이 과제수행에서 실패하였을 때 외집단 구성원들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추론하는 결과편파적 추론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결과는 이를 지지해 주지 못하였다. 이는 피험자들이 내외집단으로 구분된 경우 결과편파적 추론은 내집단 구성원들에 대해서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ask sucess and failure on outcome-biased inferences. In the first phase of the present study, the group membership was manipulated by performing picture arrangement tes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group and low group. The members of two groups answered three items intended to assess the ingroup and outgroup memebers' preference, intelligence, and competence.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the members of high group and low group were required to perform group decision making task. After completing group decision making task, the outcome of each group was manipulated so one group succeed and another group failed. The subjects answered the same questions with previous items. In the success condition, analysis of subjects' inferences revealed effects of outcome-biases. The subjects judged ingroup members to be more intelligent and competent when they succeed the task. The inferences made after the second phase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made after the first phase. But in the fail condition, subjects did not make outcome biased inferences, perceiving both ingroup members and outgroup members as of about equal intelligence and competence.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monstrate the motivational effects on outcome biased inferenc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