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비교 대상의 선택에서 환류유형, 비교속성 및 통제감의 효과

Effects of Feedback of Performance, Relevance of Comparison Attribute,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on Choice of Comparison Targe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201-217
장은영(Eun-Young Jang)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환류 유형, 비교속성 및 통제감에 따라서 비교 대상의 선택이 달라지며, 이는 사회비교 동기에 의해서 나타난다는 가설을 두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1 에서 성공/실패 환류, 환류의 일관성 및 비교속성에 따라서 비교 대상의 선택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공 환류를 받으면 상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고, 실패 환류를 받으면 하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여 환류의 주효과만 유의하였다. 그러나 기대했던 환류의 일관성에 따른 유사비교 대상의 선택은 추세만 나타났다. 실험 2에서 성공/실패 환류, 환류의 일관성 및 통제감에 따라서 비교 대상의 선택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공/실패 환류, 환류의 일관성 및 통제감의 주효과가 각각 유의했다. 즉, 성공 환류를 받으면 상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실패 환류를 받으면 하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또한 환류가 일관될 때보다 비일관될 때 유사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그리고 통제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상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통제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하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성공 환류라 하더라도 통제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상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동일한 실패 환류라 하더라도 통제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하향비교 대상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한덕웅(1999)이 사회비교의 자기조절이론에서 제안한 사회비교의 목표설정과 목표개입에 미치는 비교 경험의 영향 경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ucess/failure feedback, consistency of sucess/failure feedback, relevance of comparison attribute,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performance on choice of comparison target. In experiment 1, a 3(sucess/failure feedback: success, moderate, failure) x 2(consistency of sucess/ failure feedback: consistent, inconsistent) x 2(relevance of comparison attribute: relevant, irrelevant)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was used. One hundred and eighty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12 experimental conditions. In Experiment 2, restricted within relevant condition in experiment 1, a 2(sucess/failure feedback: success, failure) x 2(consistency of sucess/failure feedback: consistent, inconsistent) x 2(perceived controllability: low, high)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was used. One hundred and twenty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8 experimental conditions.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ucess/failure feedback was significant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uccess feedback led subjects to choose upward comparison target and failure feedback led them to choose downward comparison target. Second, the effects of consistency of sucess/failure feedback was significant only in experiment 2. Inconsistent feedback led subjects to choose lateral comparison target in experiment 2. This trend was found in experiment 1,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consistency of feedback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made the effects of feedback of social comparison more stronger. Consistent success feedback led subjects to choose upward comparison target more than inconsistent success feedback did. And consistent failure feedback led subjects to choose downward comparison target more than inconsistent failure feedback did. In success condition, subjects who perceived high controllability chose upward comparison target more than those who perceived low controllability did. And in failure condition, subjects who perceived low controllability chose downward comparison target more than those who perceived high controllability did. In the stream of social comparison theor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