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남ㆍ북한 고정관념에 대한 탐색: 성 역할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n Stereotype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Perspective of Sex Ro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219-232
전우영(Woo-Young Chun)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남ㆍ북한 및 남ㆍ북한 내의 하위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자들은 국가로서의 북한을 북한의 지배층과 매우 유사한 남성적인 속성을 지닌 외집단으로 지각하였던 반면, 북한 동포는 북한의 피지배층, 여성, 그리고 소녀와 비슷한 여성적인 속성을 지닌 내집단으로 지각하였다. 따라서 조사 대상자들은 북한과 북한 동포는 상당히 다른 것으로 지각하였다. 하지만 조사 대상자들은 국가로서의 남한은 남한 국민과 유사한 것으로 지각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국가로서의 남한은 남한 남성과 유사한 것으로 지각하였지만, 남한 여성의 속성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자들은 남한의 지배층과 북한의 지배층이 공통적으로 부정적인 속성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남ㆍ북한 고정관념 연구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알아보았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college students' stereotype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ir subgroups. Subjects perceived North Korea as an out-group which had attributes of men similar to its dominators, whereas perceived North Koreans as an in-group which had attributes of women similar to the ones who are dominated, women, and girls in North Korea. As a result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subjects'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ns. However, subjects similarly perceived South Korea and its people. Subjects perceived South Korea as a nation to have similarity to South Korean men, but also perceived it to have attributes of South Korean women. Lastly, subjects perceived that the dominator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are many negative attribut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tereotype research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