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비교의 목표 설정과 성공/실패 경험에 따른 비교 대상의 선택

Effects of Goal-setting for Social Comparison and Success/Failure Experiences upon Choice of Comparison Targe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311-329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특정한 사회비교목표의 설정과 목표의 개입 요인에 따라서 상향비교, 유사비교 및 하향비교 대상의 선택과 정서 경험이 달라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회비교의 자기조절이론을 제안하고, 이 가운데 비교대상의 선택에 관한 가설들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사회비교목표(자기향상/자기평가/자기고양), 성공/실패의 환류 및 환류확실성의 3 x 3 x 2의 완전무선설계를 사용하여, 장차 다시 과제를 수행한 후 자신의 수행 결과를 비교할 사람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가설과 일치하게 자기향상 목표조건에서는 상향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았고, 자기평가 목표조건에서는 유사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았으며, 자기고양 목표조건에서는 하향비교 대상을 선택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성공조건에서는 상향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았고, 실패조건에서는 하향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았으며, 환류가 모호한 조건에서는 유사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았다. 특히 본 연구의 기본 가설과 관련해서 사회비교를 위해서 설정한 목표가 수행 결과 환류에 의해서 결정되는 사회비교 목표의 개입과 일치하는 조건에서, 일치하지 않는 조건보다, 유발된 사회비교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비교 대상의 선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사회비교에서 대상의 선택 및 자기조절 과정과 관련지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A self-regulation theory of social comparisons processes, which assumed interaction effects of goal-setting and commitment for social comparison, was proposed and the derived hypothesis in choice of comparison target were tested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A 3(goal-setting for social comparison: self-promotion, self-assessment, self-enhancement) x 3(performance feedback: success, similar, failure) x 2(certainty of feedback: certain, uncertain)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was used. Two hundred seventy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18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three main effects were confirmed and, more importantly, the hypothesized 3-way interaction was confirmed. In accordance with the hypothesis, more upward social comparison targets were chosen in self-promotion goal/certain/success feedback condition than any other condition. Choice percentage of similar other was the highest in uncertain/similar performance feedback condition, compared to other condi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more downward comparison targets were chosen in self-enhancement goal/certain/failure feedback condition than any other condition. The result also strongly suggested that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was an important mediator between the antecedent variables and the choice of comparison target. The self­-regulation theory of social comparison, which was proposed in this paper,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 of the theories and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