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범례정보와 추상정보의 반복적 사용이 사회적 집단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etitive Use of Both Abstract and Exemplar Information on the Judgment of Social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61-83
박수애(Su-Ae Par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보처리 책략의 강화가 사회적 집단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점화나 표상구조에 의한 효과를 가능한 통제하고, 정보처리 책략의 강화 효과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절차를 두 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먼저 가상적인 사회적 집단에 대한 범주화 판단 과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추상정보나 범례정보를 사용하여 목표자극을 범주화하는 정보처리 책략을 강화시켰다. 그리고 내용이 다른 새로운 가상적인 집단에 대한 범주화 판단을 하게 하여 정보처리 책략의 강화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들은 새로운 집단에 대한 범주화 판단을 할 때에도 강화된 정보처리 책략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는 반복적인 사용을 통하여 강화된 정보처리 책략이 범주화 판단의 준거가 되는 정보의 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는 특정 유형의 정보를 사용하는 정보처리 책략의 강화가 강화되지 않은 다른 정보처리 책략의 사용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의 1단계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절차를 통하여 특정 정보처리 책략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2단계에서는 정답을 피드백하여 주어 강화된 것과 동일한 정보처리 절차를 사용하게 하거나 다른 정보처리 절차를 사용하게 하였다. 결과는 어떤 정보처리 절차를 강화시켰느냐에 따라 달랐다. 추상정보를 사용하여 범주화를 하는 정보처리 책략이 강화된 피험자들에게 반대로 범례정보를 사용하게 하면, 동일한 추상정보를 사용하게 한 조건보다 판단을 하는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강화된 정보처리 책략이 강화되지 않은 정보처리 책략의 사용을 방해하는 효과는 반응시간 보다 범주화 판단 과제에서의 판단 오류율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범례정보를 사용하여 범주화 과제를 하는 정보처리 책략을 강화한 조건에서는 추상정보나 범례정보를 사용하는 데 동일한 정도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추상정보를 사용하는 정보처리 책략은 범례정보를 사용하는 정보처리 책략에 비하여 일단 강화되고 나면 상대적으로 잘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keywords

Abstract

Effects of strengthened processing strategies on the judgment about social groups were investigated with categorization task. Across experiment 1 and 2, the processing strategies for categorizing targets by exemplar or abstract informa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repeatedly the categorization task. Experiment 1 assessed what effects the strengthened processing strategies would have on categorizing social groups with different contents. Those who relied on the abstract-information-based strategy in categorization judgments used this information as a basis of the categorization judgments of new social groups. Similarly, those who used repeatedly the exemplar information used it as basis of categorization judgm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rengthened processing strategies affect selecting information to be used in categorization judgment of new social groups.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one strengthened processing strategy on the usage of the other non-strengthened one. Those participants who were attuned to the processing strategy based on the abstract information made more judgment errors in the categorization judgments when they were instructed to use exemplar than abstract information, but not vice versa.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the strengthened processing strategy based on abstract information confines the kind of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categorization judgments, and that the abstract information would be dominant over the exemplar on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