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부관계에서 배우자 행동의 귀인차원

Attribution Dimensions of Spouse's Behavior in Marriag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1, pp.113-137
이경성(Kyung-Seong Lee)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친밀한 대인관계에 적합한 귀인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 1에서는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행동에 대해서 귀인하는 내용을 알아내고, 귀인 측정방법들을 비교하였다. 결혼한 남녀 338명(남: 189, 여: 149)을 대상으로 얻은 귀인 자료를 내용분석해서 183개의 소범주를 얻었다. 소범주 별 빈도분석 결과,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에서 모두 행위자귀인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제 삼자/환경/자극귀인, 자기귀인, 그리고 양자공동귀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귀인을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 즉 행동의 원인을 직접 기술하는 방법과 행동이 발생했을 때 자연스럽게 마음 속에 떠오른 생각이나 느낌을 기술하게 한 자료에서 귀인내용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얻은 귀인내용의 일치율을 계산하였다. 두 방법으로 얻은 귀인내용의 일치율은 65%여서 행동의 원인을 직접 기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귀인이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귀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배우자 행동의 대표적 귀인내용들을 차원으로 요약하기 위하여 연구 1에서 얻은 귀인 가운데 반응 빈도가 높은 70개 귀인내용을 추출하여, 69명에게 의미가 유사한 귀인내용끼리 분류하도록 하였다. 이 자료를 다차원분석해서 3차원을 얻었으며, 24개 양극 형용사척도를 이용하여 해석했다. (stress=.07, R<sup>2</sup>=.96) 이 3차원들 가운데 제 1차원은 '자기 흑은 배우자-자기와 배우자 이외 차원(R<sup>2</sup>=.82), 제 2차원은 '배우자-배우자 이외 차원(R<sup>2</sup> =.62) 및 제 3차원은 '양자공동-양자공동 이외 차원(R<sup>2</sup>=.53)으로 해석되었다. 귀인내용을 군집분석한 결과에서도 다차원분석에서 얻은 차원들의 해석이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및 장차 다루어야 할 연구 과제가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taxonomy of causal attributions appropriated for marital relationship. Study I examines the content of spouses' causal attributions most common in marriage and the relevance of the direct attribution inducing method which was used to investigate causal attributions. Attribution data from 338 marri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183 attribution catego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of 183 attribution categories showed that the actor attribution had the highest frequency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behavior of spouses, followed by the third parties/circumstances/stimulus attribution, the self attribution that is the object of the behavior of spouses, and the attribution to both sides. In order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direct attribution inducing method, two attribution inducing methods, a direct method in which an actor directly described causes for the behavior and an indirect method that extracted attributions from the data of thoughts or feelings that arose sponstaneously when partner behavior occurred, were used. .72 agreement rate on attribution category was achiev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methods. Study 21 investigates dimensions underlying attributions derived from study 1. First, among 183 attribution categories, 70 term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frequency and representativeness for each category. Then 6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lassified them into 10 categories according to similarity of meaning. 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of these data showed three dimensions(stress=.07, R²=.96).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imensions was guided by data from 60 additional subjects who rated the 70 causes on 24 bipolar scales. As a result, the first dimension was interpreted as 'self or spouse-other than self or spouse'(relationship-other than relationship), the second as 'spouse-other than spouse' and the third as 'both sides-other than both side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interpretation of each dimension acquired from the analysi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relevant. Finally,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ssue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ies were mention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