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자 브레인스토밍 : 집단 창의성 기법으로서의 허와 실

Electronic Brainstorming: The Myth and Reality as a Technique for Group Creativi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3, pp.79-108
장재윤(Jae-Yoon Chang) (선문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집단 회의시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을 자극하는 기법으로 오래 전부터 널리 활용되어 온 브레인스토밍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과 실험실 연구결과간에는 상당한 불일치가 있다. 현장에서의 집단 창의성 기법으로서의 브레인스토밍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경험적인 연구결과들은 일관되게 집단보다는 개인적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이 훨씬 더 생산적임을 보여 주었다. 이는 브레인스토밍 절차 자체에 내재된 문제점들 때문이며, 최근 이러한 면대면 브레인스토밍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전자 브레인스토밍의 유용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이 기법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먼저, 전통적인 면대면 브레인스토밍집단과 명목집단간의 아이디어 생산성 비교를 통해 면대면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고찰하고, 둘째, 대안으로서의 전자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대해 소개하고, 이 방식의 효과와 관련 경험적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이 기법의 한계를 '인지적 자극주기'의 측면에서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브레인스토밍 기법 자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re are considerable inconsistencies on the utility of face-to-face group brainstorming, which was considered a efficient technique for stimulating creative idea generation, between the field experience and the results of laboratory experiment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the field users of it, empirical evidences showed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brainstorming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minal group. This lower productivity stems from the various problems inherent in the group brainstorming procedure. Recently, electronic brainstorming(EBS) has been proposed as a superior approach to both nominal brainstorm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brainstorming. In this review, first,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verbal brainstorming procedure were presented with the comparison of idea productivity between verbal brainstorming group and nominal group, and then, electronic brainstorming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echnique. Second,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productivity of electronic brainstorming group were compared with that of nominal group, and the ceiling of its productivity was explained by the lack of cognitive stimulation.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concerning the effective use of brainstorming technique were present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