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비교의 목표, 대상 및 성공/실패에 따른 자기 정서의 경험

Effect of Success/Failure Feedback, Goal-setting for Social Comparison and Comparison Target upon Experiences of Self-Relevant Agitation Emo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3, pp.109-123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장은영(Eun-Young Jang)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외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사회비교의 대상에 따라서 정서 경험이나 복지가 달라진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대상에 따라서 경험하는 초조정서의 수준이 사회비교의 목표와 성공/실패 경험과 삼원상호작용하는 형태로 달라진다는 가설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했다. 실험설계로는 성공/실패의 환류, 사회비교의 목표(자기향상/자기평가/자기방어) 및 비교 대상(상향/유사/하향)의 2×3×3의 완전무선설계를 사용하여 각 조건에 14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타인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여 성공이나 실패를 경험한 후 사회비교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다음 수행 결과를 자신보다 잘 하거나 유사하거나 혹은 못하는 사람과 비교하게 된다고 예고된 조건에서 자신이 느끼는 초조정서의 경험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여서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가설과 일치하게 성공한 조건에서는 자기향상 목표를 설정하면 상향비교 대상과 비교하게 될 때 하향비교 대상과 비교할 때보다 자기에 대한 초조정서를 덜 경험하였고, 자기방어 목표를 설정하면 하향비교 대상과 비교하게 될 때 상향비교 대상과 비교할 때보다 자기에 대한 초조정서를 덜 경험하였다. 실패한 조건에서는 자기방어의 목표를 설정하면 하향비교 대상일 때 상향비교 대상과 비교할 때보다 높은 초조정서를 경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사회비교 과정을 다룬 연구들에서 사회비교의 대상에 따라서 자기에 대한 감정이 달라진다고 가정해 온 효과가 사회 비교의 목표 설정과 성공/실패 경험에 따라서 달리 나타남을 알아낸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필자의 선행 연구(한덕웅, 1999, 장은영ㆍ한덕웅, 1999)에서 제안한 사회비교의 기능 및 자기조절 과정과 관련지어서 논의하고 장래연구의 과제도 제안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uccess/failure feedback, goal-setting for social comparison and comparison target on experience of self-relevant agitation emotions. A 2(performance feedback: success, failure)×3(goal-setting for social comparison: self-promotion, self-assessment, self-enhancement)×3(comparison target: upward, similar, downward) complete factorial design was used in this experiment. Subjects performed a task and were told that their performance of the next trial would b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parison target the computer arranged. And then subjects rated their self-relevant emotional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three-way interaction was confirmed. The self-relevant agitation emotion effects of comparison target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goals of social comparison and sucess/failure feedback. To pu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concretely, in success condition more agitation-related emotion was experienced in self-promotion goal/upward comparison condition than self-promotion goal/downward comparison condition and less agitation-related emotion was experienced in self-prevention goal/upward comparison condition than self-prevention goal/downward comparison condition. And in failure condition more agitation-related emotion was experienced in self-prevention goal/downward comparison condition than self-prevention goal/upward comparison condition. Especially in self-promotion goal/success feedback/upward condition, choice percentage of the upward target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and in self-prevention goal/failure feedback/upward condition, choice percentage of downward target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self-regulation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Hahn, 1999),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