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Cross-cultur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Quality of Lif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5, v.19 no.2, pp.1-15
김정운 (명지대학교)
이장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독일대학생들의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대한 관련성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대학생 368명, 독일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우선, 각 문화의 대학생들이 주로 하는 여가활동유형,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과의 차이, 여가시간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여가동기, 여가태도에 있어 한국과 독일대학생 간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삶의 질과 여가동기, 여가태도, 여가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대학생은 독일대학생에 비해 ‘놀이 및 오락’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만, 이러한 여가활동에 대해 비교적 만족스러워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오히려 ‘관광 및 여행’활동과 ‘사교’활동 그리고 ‘스포츠 및 건강’활동을 하는 경우,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독일대학생들은 ‘스포츠와 건강’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활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며, 삶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경험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동기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대학생들의 경우 휴식을 취함으로써 일에 대한 에너지를 얻고, 기분 전환을 하고자 하는 동기(휴식동기)가 독일대학생들에 비해 강한 반면, 자신의 능력을 개선하거나 자랑하고 싶어하는 동기(유능동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태도에 있어서도 한국대학생은 인지적, 정서적 요인이 높게 나타난 반면 독일 대학생은 행동적 측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여가, 삶의 질, 여가활동, 생활만족도, 여가동기, 여가태도, 여가만족도, leisure, leisure motivation, leisure attitude, leisur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differences of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lif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goal, 368 Korean and 348 German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measuring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life(leisure activities, leisure motivation,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affectivity). Based on analyzing these data, We found 4 prominent results; First, there we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pecifically, although many of the Korean students were usually participating an 'indoor activities' such as internet surfing, card game, billiard etc, they were unlikely to satisfy thos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German students(29.2%) were participating sports activities, which was positively rel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Korean students were to have a stronger ‘psychological rest motivation' in leisure life than German students. While German students were to have a stronger ‘competent motivation' than Korean students. Third, Korean students showed discrepancy between cognition and behavior of leisure attitude. When it comes to the cognitive aspects of leisure attitude, Korean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leisure as a valuable activity than German students. In that the behavioral aspects, German students we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leisure activity and consume time and money than Korean students.

keywords
여가, 삶의 질, 여가활동, 생활만족도, 여가동기, 여가태도, 여가만족도, leisure, leisure motivation, leisure attitude, leisur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참고문헌

1.

강경빈, (1999)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와 대학만족간의 관계,

2.

고동우, (2002) 여가체험 및 관광행동 이중추동 모형과 이중톨로 여가체험 모형,

3.

김경태, (1995) 여가활동유형과 여가태도의 관계,

4.

김상무, (1998) 여가활동이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김성희, (2003)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레저활동의 심리적 특성,

6.

김정근, (1998) 여가태도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레겝의 연구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7.

김정운, (2003) 휴테크 성공학, 명진출판

8.

김정운, (2003) 중년의 위기와 부부여가 ,

9.

김정인, (1997) 부적 정동과 사회적 기대가 직무 스트레스와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

10.

노용구, (2002) 인간의 자유확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 학문,

11.

박영숙, (1999) 대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분석,

12.

박유진, (2002)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13.

성영신, (1996) 여가의 심리적 의미 산업 및 조직,

14.

이수원, (1995) 양극구조에서 이원구조로 개인 내 태도구조의 발달,

15.

원형중, (1994) 여가활동 참여가 수도권 거주 노인의 고독감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16.

원형중, (1998) 성인근로자의 여가활동 참여동기와 제약요인에 관한 기본 연구,

17.

채선애, (2002) 여가활동, 여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가의 관계,

18.

A, (1992185-196) Discriminant Validity of Measures of Job Satisfac- 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 chology,

19.

Argyle, (1987) The Psychology of Happiness, Ltd

20.

Beard,J.,, (1980) Measuring leisure sat- isfaction,

21.

Beard, (1983)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

Bradburn,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23.

Bryant, (1982)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

Campbell,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25.

Campbel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McGraw-Hill

26.

Christensen, (1973) Social and atti- tudinal variants in high and low use of outdoor recreational facil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7.

Dattilo, (1994) Leisure orientations and self-esteem in women with low incomes who are overweigh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8.

&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29.

Diener,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ty and Assessment,

30.

Flanagan,J.C, (1978) A resear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31.

Dubuqu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32.

In E, (1984)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leisure and resultant implications for leisure counseling,

33.

Kaplan,M, (1960) Leisure in America, John Wiley & Sons

34.

A, (1997) A Social Psy- chology of Leisure, Ventrue Publishing Inc

35.

Nash, (1960) Philosophy of Recreation and Leisure,

36.

Spring- field, (1981) The psychology of leisure, Publisher

37.

& Breit, (1969) Attitude Dimensions of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8.

leisure satisfaction, (1980) Interrelationships among leisure par- 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9.

& Beard, (1982)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0.

Ragheb,M.G.,, (1993) Campus recreation and perceived academic stress,

41.

& Keyes M, (1995) The structure of psy- 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 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Seligman, (2002)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43.

Shaw, (1995) Leisure and identity formation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4.

nary taxonomy of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5.

Young,C.W.,, (1979) Aggregated and disaggregated outdoor recreation participation model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