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정관념적 신념의 변화 : 한 인지적 분석

Change of Stereotypic Belief: A Cognitive 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5, v.2 no.2, pp.95-112
李鎭煥(Jin-Hwan Lee) (釜山大學校 心理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고정관념적 신념의 변화에 관련된 요인이나 인지과정을 찾기 위해 인지적으로 접근한 최근의 실험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고정관념적 신념의 수정에 깔려있는 인지과정을 직접적으로 구명한 연구는 단 하나(Weber & Clocker, 1983)였다. 본 개관의 결과, 피험자들의 자기-제시 동기가 피험자로 하여금 고정관념 -검증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데 병용(동등 기회) 책략을 사용하도록 만듦을 알았다. 집단의 구성원들을 개성화시키면, 우리의 고정관념적 신념이 우리가 그 구성원들에 의해 인상을 형성하거나 판단하는데 영향을 덜 미치게 할 수 있음도 알았다. 그리고, Weber와 Crocker(1983)는 고정관념적 신념의 수정에 깔려 친는 인지과정을 이해하는데에 Bookkeeping 모델(예, Rothbart,1981)과 Subtyping 모델(예, Taylor, 1981)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추후 고정관념적 신념의 변화 과정 산에 있는 時繼들(sequences)이 더 구명되어야 한다. 가능한 時繼들 중의 하나로 "상반되는 증거(또는 다른 관련 요인들)→외집단 동질성의 지각의 변화→고정관념적 신념의 변화"의 時繼를 제안하였다.

keywords

Abstract

In this paper, some recent experimental researches which explored the factors or processes underlying the change of stereotypic belief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were reviewed. There was only one research(Weber & Crocker, 1983) which directly investigated the cognitive processes underlying the revision of stereotypic beliefs. As a result of this review, it was found that subjects' self-presentational concerns could solicit the equal opportunity strategy for gathering-evidence in stereotype-testing activities. Individuation of group members could reduce the influence of stereotype on our impression and judgment about individual group members. And Weber & Crocker(1983)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Bookkeeping model(e.g., Rothbart, 1981) and Subtyping model (e.g., Taylor, 1981) were to be applicable to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processes underlying the revision of stereotypic beliefs. It was suggested that sequences in the, processes of change of stereotypic beliefs be further explored. Such a sequence as "disconfirmatory evidences (or other relevant factors)-change in the perception of outgroup-homogeneity-change of stereotypic beliefs" was proposed as one of probable sequenc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