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강간범죄에 대한 위험도 인식과 가치판단에 관한 연구 : 남여차이

Risk perception and value judgment on rape: gender differenc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7, v.21 no.3, pp.57-73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3.004
김범준 (경기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간에 대한 인식과 가치 판단에 있어서 성차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강간에 대한 위험도 지각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성차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강간을 심각한 범죄로 지각했으나, 그 발생빈도는 비교적 높지 않게 판단하였다. 그리고 자신과 타인이 강간의 피해자가 될 확률을 낮게 추정했지만, 자신보다는 타인의 피해확률을 높게 보았다. 또한 위험도 인식에 있어서 성차효과가 나타났다. 즉, 남자에 비해 여자들이 강간을 더 심각하게 보고, 더 높은 발생빈도를 추정했으며, 자신들이 더 피해자가 될 확률이 남자보다 높다고 추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4가지 유형의 동성과 이성간 강간 사례를 주고 각 강간 사례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판단하였다. 그리고 처벌에 대한 가치 판단과 행위 원인에 대한 귀인을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강간을 부적절하고 비도덕적인 행위로 보았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처벌을 해야 한다고 동의했다. 또한 가해자의 행위를 매우 기질적 원인이라고 귀인하는 반면에 상황적 귀인의 수준은 중간정도였다.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연구 2에서도 역시 성차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4가지 유형의 강간 사례에 있어서 남자들에 비해 여자들이 더 비도덕적이고 적절하지 않은 행위라고 판단했으며, 더 엄격한 처벌을 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더욱이 더 무거운 양형을 부과하였다. 한편 4가지 유형 중 남자가 여자를 강간한 경우에 특히 여자 판단자들에게 이 같은 성차 효과가 극대화 되어 나타났다. 동성강간의 경우, 남자 판단자는 남자 동성보다 여성 동성에 대해 더 관대한 양형을 부과했으며, 남자 가해자에 대해 더 기질적으로 귀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ape, Homosexual rape vs. heterosexual rape, Value judgment, Punishment, Gender Difference, Rape, Homosexual rape vs. heterosexual rape, Value judgment, Punishment, Gender Difference, 강간, 동성 강간과 이성 강간, 가치 판단, 처벌, 성차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risk perception, value judgment, and gender effect on rape. For this purpose, two studies were conducted. Study 1 examined the risk perception of rape and gender effect of the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rape as a serious crime, but its frequency estimation was not high. And the estimation of probability for others to become a rape victim was higher than the estimation for self. Moreover the estimation for women was higher than the estimation for men. In study 2, respondents were provided with four rape scenarios(homosexual / heterosexual rape), and asked to make value judgment regarding the severity of conduct and the degree of punishment and to attribute the offender's conduct and gender effect of those judgments. The results showed gender difference. In general, women showed sterner ethical standards, heavier sentencing, and less situational attribution than men did. Especially, women showed stronger gender effect on the case where a man raped a woman compared to other cases. However, men sentenced shorter sentence in the case where a woman raped a man compared to other case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Rape, Homosexual rape vs. heterosexual rape, Value judgment, Punishment, Gender Difference, Rape, Homosexual rape vs. heterosexual rape, Value judgment, Punishment, Gender Difference, 강간, 동성 강간과 이성 강간, 가치 판단, 처벌, 성차

참고문헌

1.

고재홍 (1994). 가해자 외모와 형량판단간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사회, 8, 68-84.

2.

고재홍 (1995). 처벌크기 판단에 관여하는 정보들의 통합방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9, 29-50.

3.

김관현 (2000). 양형의 실태와 합리화 방안.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상균 (2007). 범죄심리학. 서울:청목 출판사.

5.

김지현 (1992). 법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선고목적 선호와 형량결정 과정에 미치는 선고맥락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국가인권위원회 (2004). 군대내 성폭력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7.

박광배, 홍성진 (1993). 형사재판에서의 유무죄판결 및 선고의 일관성. 한국심리학회지:사회, 7, 73-89.

8.

백승경, 김기범 (2003). 강간사건 지각 및 판단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요인분석. 2005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7-188.

9.

법무 연수원 (2006). 법무백서. 법무 연수원.

10.

손지선, 이수정 (2007). 가족 살해의 가해자의 특성과 양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1, 1-17.

11.

유은상 (2004). 낙관주의 및 귀인 방식과 건강의 관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1(1), 1-19.

13.

이건호, 강혜자 (2005).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1(3), 23-40.

14.

이명선 (1989). 강간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이석재 (1999). 강간통념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 131-148.

16.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5(1), 97-116.

17.

이윤호 (2002). 범죄학 개론. 서울:박영사.

18.

최인철, 김범준 (2005). 정보화 시대의 사회적 불안의 특성과 변화.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19.

황규대, 박상진, 이광희, 이철기 (1999). 조직행동의 이해. 박영사.

20.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2(2), 107-121.

21.

Anderson, I. (2007). What is a typical rape? Effects of victim and participant gender in female and male rape percep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 ogy, 46, 225-245.

22.

Aspinwall, L. G., & Taylor, S. E. (1992). Modeling cogni- tive adapt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23.

Bartol, C. R. (1991). Criminal behavior: A psychological approac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4.

Burt, M. R. (1980). Cultural myths and supports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217-230.

25.

Carver, C. S., Pozo, C., Harris, S. D., Noriega, V., Scheier, M. F., Robinson, D. S., Ketchman, A. S., Moffat, F. L., Jr., & Clark, K. C. (1993). How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distress: A study of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375-390.

26.

Dion, K. (1972). Physical attractiveness and evaluation of children's trans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 207-213.

27.

Doherty, K., & Anderson, I. (2004). Making sense of male rape: constructions of gender, sexuality and experience of rape victims. Journal of Community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4, 85-103.

28.

Drout, C. E., & Gaertner, S. (1994). Gender differences in reactions to female victim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2, 267-278.

29.

Frese, B., Moya, M., & Megias, J. L. (2004). Social per- ception of rape: How rape myth acceptance modu- lates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facto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9, 143-161.

30.

Haskell, M. R., & Yablonsky, L. (1983). Criminology: Crime and criminality. Boston, MA: Houghton Mifflin Company.

31.

Hogarth, J. (1971). Sentencing as a human proces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2.

Klemmack, S. H., & Klemmack, D. L. (1976). The social definition of rape. In J. W. Marcia & L. B. Stanley (Eds.), Sexual assault the victim and the rapist. Massachusetts, D.C.: Health and company(pp.135- 147).

33.

Koss, M. P., Leonard, K., Beezley, K., & Oros, C. (1981). Personality and attitudinal characteristics of sexually aggressive men.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os Angeles.

34.

Malamuth, N. M. (1981). Rape proclivity among males. Journal of Social Issues, 37, 138-157.

35.

McFatter, R. M. (1982). Purposes of punishment: Effects of utilities of criminal sanctions on perceived appropriat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 255-267.

36.

Miller, J. (2002). The strengths and limits of ‘doing gender' for understanding street crime. Theoretical Criminology, 6, 433-460.

37.

Rye, B. J., Greatrix, S., & Enright, C. S. (2006). The case of the guilty victim: The effects of gender of victim and gender perpetrator on attributions of blame and responsibility. Sex Roles, 54, 639-649.

38.

Seagel, W. (1941). The quest for law. New York: Knopf.

39.

Sellin, T. (1938). Culture conflict and crime. New York: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40.

Shepherd, J. (1981). Sociology. St. Paul, MN: West Pub- lishing Co.

41.

Thomas, C. W., Cage, R. J., & Foster, S. C. (1976). Public opinion on criminal law and legal sanction: Am examination of two conceptual models.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67, 110-1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