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복합적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원

The Complexity of Body Image in Post-Mastectomy Women and Social Suppor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1, pp.129-147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1.009
김영란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들이 생각하는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유방암 수술을 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몸의 변화를 통해 여성성 상실뿐만 아니라 신체적 고통, 죽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회적 시선 등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신체 이미지로 투영된다. 따라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실제 삶의 질과 밀접히 연결되며, 수술 후 경험하는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방암에 대한 연구는 유방암 수술을 받은 여성들의 신체 이미지를 여성성 상실이라는 단일한 차원에서 논의하기보다는 다차원적인 면에서 고찰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 이미지, 사회적 지원 욕구, 삶의 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연구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유방암 수술 후에는 신체적 고통과 죽음에 대한 가능성 및 두려움을 생각하며, 치료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심리적 위안을 들고, 그 다음으로 질병과 관련된 정보, 지식제공을 꼽았다. 둘째, 신체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신체의 불완전성(Boby Stigma), 팔의 장애(Arm Concern), 신체에 대한 관심(Body Concerns), 신체의 취약성(Vulnerability), 신체활동 제약(Limitations), 타인의 시선 인식(Transparency) 등 6개 영역에서 평균을 훨씬 웃도는 높은 정도의 부적 이미지를 보였으며, 신체 이미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수술방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의 이미지는 다른 변인에 비해 삶의 질에 더 큰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외형보정, 신체적 심리적 고통과 관련된 정보 및 지식, 정신적 지원 등 복합적 신체 이미지에 따른 사회적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신체 이미지, 유방전절제술, 신체의 불완전성, 팔의 장애, 몸에 대한 관심, 신체의 취약성, 신체활동 제약, 타인의 시선 인식, body image, post-mastectomy,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s, transparency

Abstract

The study aims at mapping out social service programs through women performed the surgery to remove their breast cancer by examin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grasping their needs for social support. Post-mastectomy women cannot help experiencing loss of their feminity and physical pains. Not only that, but they should face recognition of death, social gaze and so on. These various experiences caused by their physical change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ir body image. It, therefore, can be said that their body im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recognition of their own body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ir actual lives. The changes which women might experience after surgery have usually negative influence on their lives. Researches on women's breast cancer have been made focusing on the one-dimensional body image, that is, loss of their feminity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Recent researches on the same subject, however, trend to handle various aspects of their body image. The study also inquires their body image and needs for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etc. through women performed their breast cancer surger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ir breast cancer surgery women think of physical suffering and possibility and fear of death. The thing t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medical care is their psychological comfort. And it is then necessary that they get disease-related information or knowledge. Second, six sub-elements of body image such as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 and transparency show negative image by high degree of above the average. The element which affects the body image most is the method of surgery. Third, the body image gives more accurate explanations for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an other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suggests the necessary policy of social support for women who undergo mastectom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s 'Look good and feel better', 'Information about what to expect and about symptom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 for the existential body, 'Active listening to fears and concerns and providing assistance as needed' according to complexity of body image.

keywords
신체 이미지, 유방전절제술, 신체의 불완전성, 팔의 장애, 몸에 대한 관심, 신체의 취약성, 신체활동 제약, 타인의 시선 인식, body image, post-mastectomy, body stigma, arm concern, body concerns, vulnerability, limitations, transparency

참고문헌

1.

국립암센터 (2008). 대국민 인식조사결과발표. 2008. 7. 15.

2.

김양선 (2000). 소비자본주의 사회와 여성의 몸. 새여성학, 121-144.

3.

김종남, 권정혜 (2005). 유방암 환자를 위한 집단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1-17.

4.

노만수 (1993). 건강한 유방 아름다운 당신. 서울: 동아일보사.

5.

서창옥, 신현수 (2000). 유방암의 국내치료 현황조사 및 방사선치료방법의 기술평가를 위한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6.

유양숙, 조옥희 (2001). 유방절제술 환자의 배우자 지지, 성생활만족도 및 부부친밀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5(1), 148-156.

7.

이윤수 (2007). 유방완전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심리사회적 경험. 한국사회복지학, 59(3), 99-124.

8.

임인숙 (2006). 유방암, 손상된 몸과 여성성의 위기감. 한국여성학, 22(4), 6-46.

9.

조재경 (2005).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기효능추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서울: 보건복지부.

10.

한국유방암 학회 (2009). 유방암 백서 2006-2008.

11.

경향신문 (2008. 7. 17). 가슴 아파도 절제 안 한다. 13면.

12.

조선일보 (2009. 10. 6). 암 아니라더니… 음성판정 7000 명 이듬해 양성. 10면.

13.

http://www.cancer.go.kr

14.

http://www.ncc.re.kr/index.jsp

15.

http://www.kbcf.or.kr

16.

Baxter, N., Goodwin, P., & Mcleod, R. S. (200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questionnai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questionnaire. The breast journal, 12(3), 221-232.

17.

Carver, C. S., Pozo-Kaderman, C., Price, A., Noriega, V., Harris, S. D., & Derhadopina, R. P. (1998). Concern about aspects of body image and adjustment to early stage breast cancer. Psychosomatic Medicine, 60, 168-174.

18.

Cohen. M., David, L. K., & Richard, H. S. (1998) Beyond body image: the experience of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5(5), 835-841.

19.

Harris, D., Robert, P., Derhagopian, D., Robinson, H., Frederick, L., & Moffatt, J. (1998). Concern about aspects of body image and adjustment to early stage breast Cancer. Psychosomatic Medicine, 60, 168-174.

20.

Spencer, W. (1996). Significance of the Breast to the Individual and Society. Plastic Surgical Nursing, 16(3), 131-132.

21.

Kissane. D. K., White, K. C., & Luis. V.(2004). Psycho-social impact in the areas of body image and sexuality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The National Breast cancer Centre. New York.

22.

Klawiter, M. (2008). The biopolitics of the national breast cancer. Centre for Breast Cancer. The University of Minnesota.

23.

Polivy. J. (1977). Psychological effects of mastectomy on a women's feminine self- concept.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4(2), 77-87.

24.

Mock, V. (1993). Body image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Nursing Research, 42, 153-157.

25.

Nettleton, S. (1997).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조효제 역). 서울 : 한울아카데미.

26.

Northrup, C. (2000).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강현주 역). 서울 : 한문화.

27.

Petronis, V. M., Carver, C. S., Antoni, M. H., & Weiss, S. (2003). Investment in body image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women treated for early stage breast cancer: partial replication and extension. Psychol Health, 18, 1-13.

28.

Schover, L. (1994). Sexuality and body image in younger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16, 177-182.

29.

Walsh, F. (2000). 가족과 레질리언스(양옥경 외 역). 서울: 나남출판.

30.

Yalom, M. (1999). 유방의 역사(윤길순 역). 서울 : 자작나무.

31.

Yilmazer. N. A., Aydiner, S., Ozkan, I,. Aslay, N. B. (1994). A comparison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total mastectomy and breast-conserving therapy in Turkish women. Support Care Cancer, 2, 238-241.

32.

Yun, Y. H., Park, Y. S., Lee, E. S., Bang, S. M., Heo, D. S., Paek, S. (200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ity of Life Research, 13, 863-868.

33.

Yurek, D. W., & Barbara, L. A. (2000). Breast cancer surgery : comparing surgical groups and determin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sexuality and body change stres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4), 697-7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