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es of Collective Features of Korean Socie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3, pp.53-76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3.004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trace by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 the roots of collective features held by Korean society. For this goa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the factors which were related to collective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ntexts of pre-modern Korean society. First, structur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Korean villages, which implemented strong impacts on the lives of the villagers, were examined. Second, as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gricultural life centered on rice cultivation and its relevant practices of cooperative working were reviewed. Also, the processes how Confucianism, which offered ideological framework of governance on the pre-modern society, was infiltrated to the residents of the villages were examined. Finally, their life was studied by observing yearly practices and folk plays in relation to leisure. Given all of these, the sources of Korean collectivism were discussed.

keywords
collectivism, historical/cultural approach, village communion, agricultural society, Confucianism, folk plays, 집합주의, 역사·문화적 접근, 촌락공동체, 농경사회, 유교, 민속놀이

Reference

1.

고승제(1977). 한국촌락사회사연구. 서울: 일지사.

2.

구산우(1996). 고려전기 촌락의 존재형태와 인보조직. 한국중세사연구, 3, 5-33.

3.

구산우(1999). 중세의 지역촌과 자연촌. 역사문제연구소역,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pp.143-152. 서울: 역사비평사.

4.

금장태(1999a).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5.

금장태(1999b). 한국현대의 유교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6.

김광언(1988). 우리문화가 온 길. 서울: 민속원.

7.

김기덕 등(2006). 한국전통문화론. 서울: 북코리아.

8.

김내창(1998). 조선풍속사. 서울: 한국문화사.

9.

김대환(1980). 전통적인 공동체의식과 시민윤리. 학술연구보고논총, 2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

김선풍(1996). 민속놀이와 축제. 김선풍 등,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pp. 47-107. 서울: 집문당.

11.

김성우(2006). 조선시대 농민적 세계관과 농촌사회의 운영원리. 경제사학, 41, 3-34.

12.

김옥근(1991). 조선시대의 균역과 균역법. 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제18집: 농촌사회의 전통과 구조변동, pp. 165-22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

김용덕(1992). 신한국의 탐구. 서울: 범우사.

14.

김용섭(1970). 조선후기 농업사연구(I): 농촌경제·사회변동. 서울: 일조각.

15.

김용섭(1975). 한국근대농업사연구: 농업개정론·농업정책. 서울: 일조각.

16.

김재홍(1999). 농경사회의 형성과 고대의 촌락. 역사문제연구소 역,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pp. 129-142. 서울: 역사비평사.

17.

김택규(1963). 동족부락의 생활구조연구: 반촌문화조사보고. 대구: 청구대학출판부.

18.

김택규(1979). 씨족부락의 구조연구. 서울: 일조각.

19.

김택규(1985).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농경의례의 문화인류학적 고찰. 대구: 영남대학교출판부.

20.

김택규(1991). 조선후기 농민사회의 일과 여가. 민속연구1, 7-20.

21.

김필동(1992). 한국사회조직사연구: 계조직의 구조적 특성과 역사적 변동. 서울: 일조각.

22.

김호동(2000). 여말선초 향교 교육의 강화와 그 경제적기반의 학보과정. 대구사학, 61, 1-31.

23.

문병집(1973). 한국의 촌락: 농업의 생산방식과 발전. 서울: 진명문화사.

24.

문소정(1993). 한국 가부장제 확립의 가구경제적 배경과 여성의 위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와문화 21집: 유교적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 pp.185-216.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5.

문태순(2004). 교육기관으로서 서원의 성격연구. 교육발 전연구, 20/1, 7-21.

26.

민성기(1988). 조선 농업사 연구. 서울: 일조각.

27.

배영동(2000). 농경생활의 문화읽기. 서울: 민속원.

28.

송화섭(2006). 제의와 신화. 김기덕 등, 한국전통문화론. 서울: 북코리아.

29.

신용하(1985). 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 신용하 편,공동체이론, PP. 214-266. 서울: 문학과 지성사.

30.

안호룡(1993). 유교의례의 보편화와 전통사회의 구조화: 상·제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 의 사회와 문화 21집: 유교적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 pp. 53-109.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1.

윤태림(1964). 한국인의 성격. 서울: 현대교육총서출판사.

32.

이광규(1991). 조선사회 촌락과 가족: 지역집단과 공동체적 성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와문화 제16집: 전통사회의 가족과 촌락생활. pp.63-89.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3.

이누미야, 김윤주(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자기와 대상성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0/4, 19-34.

34.

이만갑(1973). 한국농촌사회의 구조와 변화. 서울: 서울 대학교출판부.

35.

이만갑(1980). 전통적 협동과 촌락사회의 발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제3집: 한국현대사회의 문화전통, pp. 7-4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6.

이병도, 김재원(1959). 한국사: 고대편. 서울: 을유문화사.

37.

이병우(2000). 한국 유학사상의 인간 이해와 윤리. 서울:오늘의 문학사.

38.

이시재(1991). 조선시대 계와 촌락생활.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전통사회의 가족과 촌락생활, pp. 91-150.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9.

이영훈(1999). 조선사회 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조선시대연구사.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0.

이원명(2004).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연구. 서울: 한국족보문화연구원.

41.

이익환(1995). 조선촌락자치사회사: 유향소와 향규, 향촌자치규약을 중심으로. 서울: 삼영사.

42.

이창식(1996). 김선풍 등 저,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pp.161-186. 서울: 집문당.

43.

이태진(1986). 한국사회사연구: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서울: 지식산업사.

44.

이해준(1991). 조선후기 서원연구와 향촌사회사. 국사편찬위원회 편,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pp. 3-28. 서울:민족문화사.

45.

이해준(1996). 조선시대촌락사회사. 서울: 민족문화사.

46.

이호철(1991). 조선 전기의 농가와 농업경영: 새로운 논쟁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원 편,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제18집: 농촌사회의 전통과 구조변동,pp. 1-34.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7.

이호철(1995). 조선후기 수도품종의 분화. 경제사학, 19,3-31.

48.

정수복(2007).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한 세계 낯설게 보기. 서울: 생각의 나무.

49.

정진영(1991). 조선후기 동성마을의 형성과 사회적 기능: 영남지역의 한두 반촌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편,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pp. 29-68.

50.

정진영(1999). 조선후기 동성촌락의 형성과 발달. 역사문제연구소 역,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pp. 153-165. 서울: 역사비평사.

51.

정태연(2001). 성격특질차원에서의 행동일관성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279-303.

52.

조경만(1994). 인간의 자연 변형과 자연-인간 연속성: 농업에 내재된 자연-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5, 295-376.

53.

조긍호(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서울: 나남출판.

54.

조긍호(2008). 선진유학사상의 심리학적 함의.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55.

최근덕(1992). 한국 유학 사상연구. 서울: 철학과 현실사.

56.

최대권(1977). 농촌의 사회구조와 범. 법학, 18/1,186-225.

57.

최봉영(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I): 일반이론의 구성.서울: 느티나무.

58.

최봉영(1997). 조선시대 유교문화. 서울: 사계절.

59.

최봉영(2000). 주체와 욕망. 서울: 사계절.

60.

최상진(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출판부.

61.

최윤용(2008). 서당의 교육방법과 현대적 의의. 한국한문고전학회, 17, 341-366.

62.

최재석(1988). 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백과대사전, 227-230.

63.

최재석(1997).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서울: 사계절.

64.

최진옥(1999). 조선시대 사회에 대한 연구 성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조선시대연구사.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5.

하문식(2006). 선사문화. 김기덕 등, 한국전통문화론. 서울: 북코리아.

66.

한국사상사연구회(2002).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67.

한규석(2009). 사회심리학의 이해(3판). 서울: 학지사.

68.

한덕웅(2003). 한국유학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69.

한미라, 전경숙(2004). 한국인의 생활사. 서울: 일진사.

70.

한상복(1980). 한국인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사회와 문화 제3집: 한국현대사회의 문화전통.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1.

Axel, E. (1997). One developmental line in European Activity Theories. In M. Cole, Y. Engeström, & O. Vasquez (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pp. 128-14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Bakhurst, D. (1997). Activity,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In M. Cole, Y. Engeström, & O. Vasquez (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pp. 147-16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Cole, M. (1996). Cultural psychology: A once and future discipline. Cambridge, MA: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74.

Engeström, Y. (1987). Learning by expanding. Helsinki: Orienta-Konsultit Oy.

75.

Fiske, A. P., Ktayama, S., Markus, H. R., & Nisbett, R. E. (1998). The cultural matrix of social psychology. In D. T. Gilbert, S. T. Fiske &ㅊ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Vol. 2, pp. 915-981. New York: The McGraw-Hill Co.

76.

Gabrenya, W. K. Jr. (1999). Psychological anthropology and the "levels of analysis" problem. In J. C. Lasry, J. Adair, & K. Dion (Eds.), Latest contributions to cross-cultural psychology, pp. 333-351. Thousand Oaks, CA: Sage.

77.

Gardiner, H. W., & Kosmitzki, C. (2005). Lives across cultures: Cross-cultural human development. New York: Pearson.

78.

Geertz, C. (198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79.

Giles, J., & Middleton, T. (1999). Studying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 Malden, MA: Blackwell Publishers.

80.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81.

Hsu, F. L. K. (1983). Rugged individualism reconsidered. Knoxvill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82.

Huntington, S. P. (1991). The third wave.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83.

Ilyenkov, E. V. (1977). The problem of the ideal. In Philosophy in the USSR: Problems of Dialectical Materialism. Moscow: Progress.

84.

Inglehart, R. (1990).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5.

Kim, K., Lee, C-W., Hu, S-H., & Gelfand, M. J. (2004). Cultural tightness and loosenes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ross-Cultural Psy- chology, Xian, August 2-6, China.

86.

Mimick, N. (1997). The early history of the Vygotskian school: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activity. In M. Cole, Y. Engeström, & O. Vasquez (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pp. 117-12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Newman, L. S. (1993). How individuals interpret behavior: Idiocentrism and spontaneous trait inference. Social Cognition, 11, 243-269.

88.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최인 철 역(2004). 생각의 지도. 서울: 김영사.

89.

Ratner, C. (2002). Cultural psychology: Theory and method.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90.

Redfield, R. (1955). The little commun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1.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92.

Wartofsky, M. (1973). Models. Dordrecht: D. Reidel.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