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성범죄자 군집유형분석과 프로파일링 연구

Cluster Analysis Research of Sexual Crime and Profiling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1, v.25 no.1, pp.155-172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9
서종한 (경찰청)
김경일 (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111명의 성범죄자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다른 범죄행동 변인보다 지속적이면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16개의 행동특성 변인들을 준거로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군집분석 결과, 대표적으로 설명력이 가장 높은 6가지 군집 유형을 추출할 수 있었다. 16개의 범죄행동 변인의 특성을 포함하는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군집의 특성을 정리 하였다. 군집 1을 성인대상 연쇄성 성적특이침입 강도 접근형, 군집 2를 성인대상 비연쇄성 단순침입 강도 접근형, 군집 3을 성인대상 연쇄성 단순비침입 비강도 접근형. 군집 4를 성인대상 연쇄성 단순비침입 접근형, 군집 5를 성인대상 비연쇄성 단순침입 비강도 접근형, 군집 6을 아동청소년대상 비연쇄성 단순비침입 비강도 접근형으로 세분화 하여 설명하였다. 이 후 각 군집별 피의자 관련변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 체격상태, 결혼 상태, 동거인, 직업유형, 총전과 횟수, 주요전과, 유사전과, 양육형태, 양육특징, 피학대경험, 학대경험, 개인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범행동기, 강간장소와 피의자주거지간 거리, 음주횟수, 음주 후 행동, 성적습관, 성 관련 수집은 군집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군집별 평소생각, 콤플렉스, PAI 척도, 정신과이력 등에 대해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apists, Profiling, Cluster analysis, Demographic variables, 강간범, 군집분석, 프로파일링, 사회인구학적 통계

Abstract

In this study,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stinctive sixteen crime methods rapists left in the crime scene. As results of cluster analysis produces six clusters that cans represent individual rapist. Specifically,each cluster of rapists appropri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rape as well as demographic and criminogenic variables. The first cluster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rial pattern, adults as victims, invasion,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y in crime stage. The second cluster is revealed that the rapists are not serial, choose adults as victims, invade into the place of residence,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 from victims. The third cluster appears to be serial, choose adults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run away without robbery. The fourth cluster is exposed to be serial, for adults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and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The fifth cluster is reveal to be not be serial, offend adults as victims,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 from victims. The sixth cluster is exposed to be serial, choose the young or juvenile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un away without robbery. The six clusters also differ from various criminogenic variables such as crime motive, criminal record, age, the place residence, frequency of alcoholic drink, marriage, sexual habit, complex, thoughts and so on.

keywords
Rapists, Profiling, Cluster analysis, Demographic variables, 강간범, 군집분석, 프로파일링, 사회인구학적 통계

참고문헌

1.

경찰청 (2005). 과학적범죄분석시스템(Scientific CrimeAnalysis System). 서울: 경찰청.

2.

경찰청 (2007). 강간범죄의 한국적 유형분류. 2007년과학수사 국제학술세미나 논문집, 157-174.

3.

김경일, 배진희, 이창환 (2009). K-LIWC를 사용한 남녀의 언어․심리적 특성 차이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1(3), 1307-1318.

4.

김경옥 (2009). 방화범죄자의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구,범행현장과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범죄심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5.

김지선 (2009).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유형분류와 프로파일링,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고선영, 김경옥, 유지현, 정연대, 최대호 (2010). 연쇄강간범죄자에 대한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2010연차 학술대회논문집, 332-333.

7.

공은경 (2009). 연쇄 성범죄자 프로파일링. 경찰청 2009범죄행동분석연구, 21-56.

8.

곽대경 (2001). 경찰수사를 위한 범죄연구의 활용방안.한국경찰학회보, 12, 12-53.

9.

권창국 (2002). 범죄자 프로파일링 증거의 활용과 문제점에 관현 연구. 수사연구, 12, 34-45.

10.

서종한 (2010). 성범죄자 유형 분석과 프로파일링 - 4가지 집단을 중심으로. 경찰청 2010 범죄행동분석연구, 45-109.

11.

서종한, 김경일 (2009). 성폭력 가해자의 글에 나타난언어·심리적 특성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1(2),717-730.

12.

서종한, 이원철, 김경일 (2010). 범죄유형에 따른 PAI군집분석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2(5),2631-2645.

13.

박희정, 추창우 (2010). 아동 성폭력 범죄자의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유형분석. 경찰청 2010 범죄행동분석연구, 117-132.

14.

이정화, 오지향, 정주성, 이창환 (2007). K-LIWC 글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담-내담자 언어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9(5), 2545-2568.

15.

이진숙, 홍상남 (2008). 연쇄 성범죄 분석 - SCAS를중심으로. 경찰청 2008 범죄행동분석연구, 23-45.

16.

정연대 (2009). 아동 대상 성범죄자의 가해자-피해자관계에 따른 범행행동분석. 경찰청 2009 범죄행동분석연구, 97-117.

17.

전영실, 강은영, 박현민, 김혜정, 황태정, 정유희 (2007).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재범억제방안. 서울: 형사정책연구원.

18.

최윤선, 이창환 (2008). 노무현 대통령의 담화분석 -취임 및 탄핵 전후로 나눈 단계별 언술의 특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0(1), 573-590.

19.

최인섭, 전영실, 이종택 (1991). 강간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pp. 38-41).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Bennett, W., & Hess, K. (1994). CriminalInvestigation. Minneapolis, MN: West.

21.

David V. Canter, Craig Bennell, Laurence J. Alison,Steve Reddy (2003). Differentiating SexOffenders: A Behaviorally Based ThematicClassification of Stranger Rapes. BehavioralScience and Law, 21, 157-174.

22.

Felson, R. B., Krohn, M. (1990). Motive For Rape.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27(3), 222-242.

23.

Groth, A., & Field, M.A. (1983). Rape. Encyclopediaof Crime and Justice, 4, 1351-1364.

24.

Hazelwood, R., & Warren, J. (1989). The SerialRapist: His Characteristics and Victims. FBILaw Bulletin, 58(2), 18-25.

25.

Henn (1979). The Aggressive Sexual Offender (pp.301-316). NY: Kutash.

26.

Hicks, Scales (1999). The mind that burns in eachbody: Women, rape, and racial violence. In Ann.S., Christine. S.,

27.

Holmes, R. M., & Holmes, S. T. (2002). ProfilingViolent Crime: An Investigation Tool(3 ed.).London: Sage.

28.

Holmes, R., & Holmes, S. (1996). Profiling ViolentCrimes(2 ed.). Thousand Oaks, CA: Sage.

29.

John E. Douglas, Ann W. Burgess, Allen G.Burgess, Robert K. Ressler (2006). CrimeClassification Manual. CA: Jossey-Bass.

30.

Morey, L. C. (1991). The Personality assessment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1.

Pathrick W. A. (2003). Criminal Profiling: What's ina name ?. Comparing applied profilingmethodologies. Journal of Law and SocialChallenges.

32.

Turvey, B. E., (1999). Criminal Profiling: AnIntroduction to Behavioral Evidence Analysis (2ed.). London: Academic Press.

33.

J. Wolfe, V. Baker (1980). Characteristics ofimprisoned rapist and Circumstance of the Rape.Rape and Sexual Assault, 265-27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