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Types of Political Phenomen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1, v.25 no.2, pp.183-208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2.010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ttempts to describe Korean people's psychological mindsets concerning diverse political issues and explore the effect of these mindsets on people's political stances and behaviors. In study 1, 86 statements that reflected diverse political issues and stances were extracted and Q methodology was utilized for this exploratory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prevalent mindsets in Korea. These types of mindsets include: public society versus private society (Group 1), justice society versus opposition society (Group 2) and pledge society versus ideology society (Group 3). In Study 2, a survey was distributed to 500 participants to further explore this issue based on the results found in Study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49.8% of the population was in Group 1, 34.4% in Group 2 and 15.8% in Group 3. In addition, these three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ir ideologies, political party that they associate with, voting tendencies, and evaluations of past and current presidents. The findings revealed how psychological mindsets of political awareness affect behaviors of the people in Korea and suggested a comprehensive map of people's stances on political issues in Korea.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political viewpoints not in terms of a conservative-liberal dichotomy, but more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keywords
정치 심리, 정치 인식 유형, 정치 행동, 주관성, Political psychology, political behaviors, subjectivity

Reference

1.

권혁남(2002).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

김갑식(2007). 한국의 남남 갈등: 기원, 전개과정, 그리고 특성. 한국과 국제정치, 23 (2), 31∼59.

3.

김기정(2006). 폭력의 그늘 무엇이 남는가. 서울신문,2006년 3월 18일자.

4.

김묘성, 김의철, 박영신(2002). 한국 정치지도자의 문제점과 자질에 대한 청소년의 표상: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002년 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327∼333.

5.

김의철(2002). 한국의 민주주의, 리더십과 정치문화: 정치효능감과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37∼170.

6.

김정운, 한성열(1998). 문화심리학 어떻게 할 것인가.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97-114.

7.

김흥규(2003). Q 방법론의 정치학적 적실성과 적용 가능성. 주관성 연구, 8, 5∼19.

8.

나은영, 한규석, 고재홍(2003).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TV 토론의 효과와 제3자 효과: 세 지역 대학생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3),145∼158.

9.

노병만(1998). 지역할거주의 정치구조의 형성과 그 원인분석: 지역감정, 지역갈등 개념을 대신하여. 한국정치학회보, 32, 59∼86.

10.

백상건(1992). 정치학 강의. 서울: 박영사.

11.

삼성경제연구소(2009). 한국의 사회갈등과 경제적 비용. CEO Information, 제710호.

12.

서문기(2001). 한국 사회의 정부 신뢰 구조. 한국사회학, 35(5), 119∼146.

13.

서문기(2004).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갈등해결시스템을 모색하며. 한국사회학, 38(6), 195∼218.

14.

송호근(2003).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삼성경제연구소.

15.

송호근(2006).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삼성경제연구소.

16.

안순철(2001). 한국 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 공간 분석: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5(3),153∼171.

17.

안신호(2000). 투표에서의 연고주의: 집단주의 경향성과의 관계 및 기저 동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1), 145∼180.

18.

이병량, 김서용, 전영평(2008). 한국 사회갈등 구조의진단과 해석: 수준, 원인,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2(4), 49∼72.

19.

이상신(2009). 정치심리학의 연구 현황과 전망.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34∼51.

20.

이정희(2005). 마음의 정치: 현대 정치심리학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1.

지속가능발전위원회(2004).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22.

한겨레 21(2008). 무당파 50% 넘었다. 2008년 12월 12일자.

23.

황상민(2005). 대한민국 사람이 진짜 원하는 대통령.김영사.

24.

황상민, 김도환(2003a). 대통령 후보의 이미지 분석에나타난 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의 심리: 심리학 연구의 사회적 응용을 위한 또다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3), 187∼199.

25.

황상민, 김도환(2003b).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1), 1∼17.

26.

황상민·김도환(200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심리적 정체성: ‘세대 차이’ 연구를 위한 심리학적모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31∼47.

27.

황상민, 김도환(2006). 한국 사회에서 리더십 이미지와한국인의 마음의 지도. 주관성연구, 12, 2∼13.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8.

황상민, 유상원, 김지연, 김리진(2006). 소비 행동으로구분되는 한국 사회의 소비자 유형과 소비문화적특성: 누가 무엇을 위해 소비하는가?. 주관성연구,13, 25∼39.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9.

Caprara, G. V. & Zimbardo, P. G. (2004).Personalizing politics: A congruency model ofpolitical preference. American Psychologist, 59(7), 581-594.

30.

Fabes, R. A., Martin, C. L., Hanish, L. D., &Updegraff, K. A. (2000). Criteria for evaluatingthe significance of developmental research in the21 century: Force and counterforce. ChildDevelopment, 71 (1), 212∼221.

31.

Farr, R. M. & Moscovici, S. (1984). Socialrepresent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Press.

32.

Gibson, J. J. (1979). The ecological approach tovisual percep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33.

Gjerde, P. F. (2001). A study of developmental typesfrom preschool in young adulthood. Presented"Lives through time in cultural context" Institute for Human Behavior of Yonsei University.SEOUL, KOREA.

34.

Helgesen, G., 김효창, 김의철 (1995). 한국 정치 문화의 변화와 연속성. 한국심리학회 1995년 연차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551∼564.

35.

Hinich, M, J. & Munger, M. C. (1994). Ideology andthe theory of political choice. Ann Arbor, MI: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6.

Jost, J. T., Glaser, J., Kruglanski, A. W., & Frank J.Sulloway, F. J. (2003). Political Conservatism asMotivated Social Cognition. PsychologicalBulletin, 129 (3), 339∼375.

37.

Kinder, D. R. & Sears, D. O. (1985). Public opinionand political action. In G. Linzey & E. Aronson(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3rd ed.(Vol. 2, 659∼741). Reading, MA:Addison-Wesley.

38.

Kuklinski, J. H., Luskin, R. C., & Bolland, J. (1991).Where is the schema? going beyond the "s"word in political psychology. American PoliticalScience Review, 85, 1342∼1356.

39.

Moscovici, S. (2000). Social representations:Explorations in social psychology, Polity Press.

40.

Mueller, D. (1997). Perspectives on public choice: Ahandboo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Press.

41.

Overton, W. F. (1998). Developmental psychology;Philosophy, concepts, and methodology. In W.Damon (Series Ed.) & R. M. Lerner (Vol. Ed.),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5th ed.,pp. 107∼188). New York: John Wiley & Sons,Inc.

42.

Pye, L. W. (1991). China: an introduc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43.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4.

Tetlock, P. E. (1984). Cognitive style and politicalbelief system in the British House of Comm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2), 365∼375.

45.

Verba, S., Schlozman, K. L., & Brady, H. E. (1995).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American politics. Cambridge, MA: HarvardUniversity Press.

46.

Westen, D. (2007). The political brain: The role ofemotion in deciding the fate of the nation. PublicAffai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