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자신의 책임을 축소하기 위해 거짓되게 진술한 한국어 진술서를 토대로 진실한 진술서와 거짓된 진술서를 비교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진술서에서 나타나는 언어적․심리적 거짓의 특징들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112명에게 1년간 있었던 본인의 가해경험을 최대한 자세하게 진실 진술서(1차)를 작성하도록 하고, 일주일 후 이들에게 다시 1차 진술에서 기술한 사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거짓 진술서(2차)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진술서 63쌍을 K-LIWC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책임회피 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과 심리적 특징을 살펴보고, 추가적인 내용분석을 통해 이러한 특징들이 진술서 내에서 나타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책임회피를 위해 거짓된 진술을 할 때 언어변인과 언어중변인, 심리적인 변인들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의 증가는 사건에 대한 책임 회피, 원인 설명, 타인에게 책임을 돌리는 등의 진술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났고, 이러한 증가는 진술의 전반부나 후반부에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deceptive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by comparing true statement with deceptive one that was written to minimize one's own responsibility for assault experience. For this aim, 11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wrote down true statement about one's own assault experience, and a week later, they wrote down deceptive statement. When they wrote down deceptive statement, they imagined a situation where their assault experience was made public and they wanted to avoid liability or blame from their acquaintances. Sixty three paired statements were analyzed with K-LIWC program. Then, the results demonstrated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people lie to minimiz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ssault experience. In addition, summ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deceptive stat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st linguist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re increased in prologue and conclusion of the deceptive statements by adding sentences to avoid one's responsibilities. In conclusion,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